스텐트 삽입술 시 사용한 봉합사에 의한 거대유두결막염

목적: 젠 스텐트 삽입술 후 결막 봉합에 사용된 10-0 나일론 봉합사로 인한 거대유두결막염 및 이로 인한 여과포 기능 저하와 안압상승 사례를 보고한다. 증례요약: 67세 남자 환자가 우안의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으로 젠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8개월 동안 안압은 15 mmHg 미만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8개월째 내원 시 이물감을 호소하였으며 안압은 24 mmHg로 상승하였다. 결막에 10-0 nylon 봉합사 말단이 노출되어 있었고, 상안검 결막에서 1 mm 이상의 다수의 거대유두비후가 관찰되었다. 봉합사 제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검안 및 콘택트렌즈 학회지, 24(3) pp. 150 - 153
Main Authors 성현지, 이상희, 이규원, 서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검안학회 01.09.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919
2384-092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젠 스텐트 삽입술 후 결막 봉합에 사용된 10-0 나일론 봉합사로 인한 거대유두결막염 및 이로 인한 여과포 기능 저하와 안압상승 사례를 보고한다. 증례요약: 67세 남자 환자가 우안의 조절되지 않는 녹내장으로 젠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8개월 동안 안압은 15 mmHg 미만으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8개월째 내원 시 이물감을 호소하였으며 안압은 24 mmHg로 상승하였다. 결막에 10-0 nylon 봉합사 말단이 노출되어 있었고, 상안검 결막에서 1 mm 이상의 다수의 거대유두비후가 관찰되었다. 봉합사 제거 후 이물감은 호전되었으며, 결막의 염증 소견과 유두비후는 점차 감소하였고 안압 또한 17 mmHg로 하강하였다. 결론: 녹내장 수술 후 결막에 잔존한 봉합사가 거대유두결막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결막의 유두비후는 여과포에 기계적압박을 가해 안압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젠 스텐트와 같이 결막하에 얕게 구조물이 위치한 경우, 거대유두결막염으로 인한외부 압박이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어, 수술 후 봉합사 관리 및 조기 제거 여부에 대한 임상적 판단이 필요하다. Purpose: We present a case of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GPC) induced by sutures used during XEN gel stent implantation. Case summary: A 67-year-old man underwent XEN gel stent implantation in his right eye for uncontrolled glaucoma. After surgery, intraocular pressure (IOP) was maintained below 15 mmHg. However, eight months postoperatively, the IOP increased to 24 mmHg, and the patient reported a foreign body sensation. The 10-0 nylon suture used during stent implantation was exposed on the conjunctiva, and marked papillary hypertrophy was observed in the upper palpebral conjunctiva. Following removal of the suture material, the papillary hypertrophy resolved, and IOP decreased to 17 mmHg. Conclusions: Retained sutures after glaucoma surgery can induce giant papillary conjunctivitis, and the associated hypertrophy may affect filtration bleb function, leading to elevated IOP. This risk is heightened when devices, such as the XEN stent, are positioned superficially in the subconjunctiva, requiring careful suture management and timely removal. KCI Citation Count: 0
ISSN:2384-0919
2384-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