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 연구 주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 배경: 노인돌봄 수요의 증가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으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개입할 방안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요양보호사, 간호사 등 돌봄인력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생활지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며, 그러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3(3) pp. 261 - 28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3.202508.012 |
Cover
Summary: | · 연구 주제: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 배경: 노인돌봄 수요의 증가로 노인맞춤돌봄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해당 사업을 수행하는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으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개입할 방안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요양보호사, 간호사 등 돌봄인력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생활지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며, 그러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대안 마련에 한계가 있다.
· 연구방법: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긍정심리자본은 감정노동과 직무스트레스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여성생활지원사의 감정노동을 줄일 수 있는 방안과 긍정심리자본의 향상을 통한 직무스트레스 완화에 대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Research topics: To examine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tress among female care workers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Research background: Given the increasing demand for elder care,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has been expanding. As a result, it is anticipated that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mong female care workers delivering this service will also in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such outcom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Although the significance of care workers such as caregivers and nurses has been widely recognized, and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empirical research focusing specifically on female care workers in the Customized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remains insufficient. This limitation has hindere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eventive measures tailored to this occupational group.
· Research metho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among female care work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conducted using SPSS and AMOS.
· Research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emotional labor significantly increases job stress among female care workers. Moreove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stres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presents social welfare implications by suggesting strategies to reduce emotional labor and by emphasizing the enhancemen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s a means to alleviate job stress among female care workers in the elderly care sector.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3.3.202508.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