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가 혁신을 억제할 때: 윤리적 분위기, 인지적 마감 욕구, 그리고 기업가적 창의성의 다층적 모형

본 연구는 오늘날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고 불확실성이 내재된 경영 환경에서, 구성원의 기업가적 창의성이 조직의 혁신과 전환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윤리적 분위기가 긍정적인 제도적 힘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주로 강조되어 왔으나, 그로 인한 창의성 제약 효과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규칙 지향 윤리적 분위기(Rule-Oriented Ethical Climate)의 양면적 특성에 주목하고, 해당 분위기가 창의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인지적 마감 요구(Nee...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벤처창업연구, 20(4) pp. 285 - 298
Main Authors 이진이, 한주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한국벤처창업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20.4.202508.28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오늘날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고 불확실성이 내재된 경영 환경에서, 구성원의 기업가적 창의성이 조직의 혁신과 전환을 이끄는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에서는 윤리적 분위기가 긍정적인 제도적 힘으로 작용하는 측면이 주로 강조되어 왔으나, 그로 인한 창의성 제약 효과에 대한 탐색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규칙 지향 윤리적 분위기(Rule-Oriented Ethical Climate)의 양면적 특성에 주목하고, 해당 분위기가 창의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인지적 마감 요구(Need for Cognitive Closure)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회인지 이론에 기반을 두어, 제도적 규범, 개인의 인지 동기, 그리고 창의적 행동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영향 과정에서 건설적 규칙 신념(Constructive Rule Beliefs)이 규칙의 경직성에 대한 인식을 완화하고 부정적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지를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는 중국 남서부 지역에 위치한 9개 중소 화장품 창업기업에서 근무하는 89개 팀, 총 552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종단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규칙 지향 윤리적 분위기는 구성원의 인지적 마감 요구를 증가시키며, 이를 통해 기업가적 창의성을 간접적으로 저해하는 경로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규칙을 목적 지향적이며 유연한 원칙으로 인식하는 구성원들의 경우, 이러한 간접효과는 유의미하게 약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 윤리적 규범이 창의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억제할 수도 있다는 이중적 속성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며, 특히 구성원의 규칙 해석 방식이 제도적 환경 속에서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강조한다. 실무적으로는, 규칙 해석의 유연성을 허용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함으로써, 통제와 혁신 간 균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oday’s fast-changing and uncertain business landscape, employees’ entrepreneurial creativity plays a critical role in driving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Within the context of entrepreneurial creativity, ethical climate has traditionally been seen as a positive institutional force by virtue of its shaping of employee behavior. However, its potential constraining effects on creativity have received limited attention. In a bid to address this lack, this study examines the double-edged nature of a rule-oriented ethical climate. For the purpose of this examination, a framework was developed, one that links institutional norms, individual cognitive motivation, and creative behavior from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More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whether the need for cognitive closure(NFC)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ule-oriented ethical climate and entrepreneurial creativity, and whether constructive rule beliefs(CRB) moderate this process by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institutional rigidity. Drawing on three-wave data from 552 employees across 89 teams in nine small and medium-sized cosmetics firms in Southwest China, it was found that that a rule-oriented ethical climate can indeed suppress entrepreneurial creativity by increasing employees’ NFC.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is indirect effect is significantly weakened among employees who perceive rules as purposeful and adaptable, as opposed to rigid. This finding serves to highlight the moderating role of CRB. This study contributes to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ethical climate by revealing its capacity to both facilitate and inhibit innovation. It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mployees’ subjective interpretation of rules in shaping their creative engagement within institutional systems.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suggest that organizations which foster flexible rule interpretation may help these organizations balance control with innovation. KCI Citation Count: 0
ISSN:1975-7557
2671-9509
DOI:10.16972/apjbve.20.4.202508.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