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TO는 가능했지만 왜 동북아는 실패했는가?: 전략적 제도주의와 삼각협력의 한계
본 논문은 유럽과 동북아에서의 안보 제도화 경로의 차이를 NATO와 한·미·일 삼 각 협력체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한다. 양 지역 모두 유사한 외부 위협에 직 면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북아는 NATO 수준의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제도화를 이 루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Saved in:
Published in | 글로벌정치연구, 18(2) pp. 33 - 5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글로벌정치연구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1352 2671-8499 |
Cover
Summary: | 본 논문은 유럽과 동북아에서의 안보 제도화 경로의 차이를 NATO와 한·미·일 삼 각 협력체제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한다. 양 지역 모두 유사한 외부 위협에 직 면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북아는 NATO 수준의 심층적이고 지속적인 제도화를 이 루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역설을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전략적 제도주의 (strategic institutionalism)를 분석틀을 제시하며, 위협 인식의 수렴, 제도 설계, 국내· 이념적 제약 요인의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비교사례 분석을 통해, 제도화는 단순한 이해관계의 일치로부터 자연스럽게 도출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적·전략적 계산에 따라 선택되는 결과임을 주장한다. NATO의 제도화는 공통의 위협 인식, 통합된 제 도 구조, 민주주의와 역사적 화해에 기반한 이념적 정합성이 결합되어 가능했다. 반 면, 한·미·일 삼각 협력은 위협 인식의 불일치, 얕은 제도적 설계, 한일 간 역사 문 제 등 국내 정치적 제약으로 인해 비공식적이고 임시적인 협력에 머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외부 위협이 협력을 유도할 수는 있으나, 제도적 심화는 국내 정치의 안 정성과 규범적 일치 여부에 달려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동북아는 전면적인 제도 통합보다는 사이버 안보나 공급망 안정 등 개별 이슈 중심의 점진적 제도화를 모색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이라는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vergent paths of security institutionalization in Europe and Northeast Asia by comparing NATO with the U.S.–Japan–ROK trilateral framework. Despite facing comparable external threats, Northeast Asia has failed to develop deep and enduring institutional structures akin to NATO. To explain this paradox, the study introduces strategic institutional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emphasizes the interplay of threat perception, institutional design, and domestic-ideational constraints. Drawing on comparative case analysis, the paper argues that institutionalization is not a natural outcome of shared interests but a strategic political choice conditioned by context-specific incentives and constraints. NATO’s success is attributed to sustained threat convergence, deep institutional architecture, and ideational alignment rooted in shared democratic norms and historical reconciliation. In contrast, the U.S.–Japan–ROK triangle remains informally coordinated due to divergent strategic priorities, shallow institutional design, and unresolved domestic grievancesparticularly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The analysis reveals that while external threats may incentivize cooperation, institutional depth ultimately depends on domestic political stability and normative cohesion. The paper concludes by suggesting that Northeast Asia may benefit more from incremental, issue-specific institutionalization rather than attempts at comprehensive formal integration.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broader debates on alliance politics and regional security governance, offering a nuanced understanding of why institutionalization succeeds in some regions and falters in other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005-1352 2671-84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