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생 39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자기질문지,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불일치, 사회불안, 학업적 지연행동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평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8) pp. 590 - 604
Main Authors 고준호, 이지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5.25.08.59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학생 398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해 검증하였다. 측정도구는 평가염려 완벽주의 척도, 자기질문지, 학업적 착수-완수 지연 척도,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불일치, 사회불안, 학업적 지연행동은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은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셋째, 평가염려 완벽주의에서 학업적 지연행동의 경로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보이진 않았으나, 자기불일치는 사회불안을 통해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쳐 완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을 이중매개하여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주는 경로를 규명하여 상담과정에서 치료적 개입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self-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among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398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Self-discrepa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while social anxiety showed a full mediating effect. A dual mediation path through both variables was also confirmed.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5.25.08.5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