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기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UX정합성 평가

본 연구는 군의 특수성에 적합한 실전과 유사한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 군사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X 정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군사용 UX 시스템은 주로 기능성과 기술적 완성도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어, 실제 사용자(장병, 지휘관 등)의 인지적 부담, 조작성, 정서적 안정성 등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요소는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 군의 경우, 민간 소프트웨어의 GUI를 그대로 도입하거나 기술 중심 설계에 머무는 사례가 많아 실전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14(4) pp. 455 - 467
Main Author 박희운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8.0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군의 특수성에 적합한 실전과 유사한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 군사 시스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UX 정합성을 평가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 군사용 UX 시스템은 주로 기능성과 기술적 완성도에 초점을 맞춰 설계되어, 실제 사용자(장병, 지휘관 등)의 인지적 부담, 조작성, 정서적 안정성 등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요소는 충분히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국내 군의 경우, 민간 소프트웨어의 GUI를 그대로 도입하거나 기술 중심 설계에 머무는 사례가 많아 실전에서의 조작 오류 및 임무 수행 효율성 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AI기반 실전 전투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UX 정합성 평가 시스템은 기존 평가체계인 평시의 사용성 검증을 넘어, 실전 환경에서의 생존성 확보 및 조작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UX 설계 기반을 제공하며, 향후 국방 R&D 정책과 군사용 UX 정합성 평가 기준의 표준화 운용과 군 전용 인터페이스 UX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oposes an AI-based evaluation framework to assess the user experience (UX) conformity of military system interfaces under combat stress conditions that closely approximate real operational environments. Traditional military UX systems have largely focused on functionality and technical performance, while overlooking critical combat-related factors such as cognitive workload, operabil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end users, including soldiers and commanders. In the case of the Korean military, the adoption of civilian GUI software or technology-driven designs has frequently resulted in operational errors and decreased mission effectiveness in actual field operations. The proposed AI-based framework addresses these shortcomings by extending evaluation beyond conventional peacetime usability testing, offering a strategic design foundation that enhances operational efficiency and survivability in combat scenarios. The outcome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ized UX evaluation criteria for defense R&D and provide foundational insights for the development of dedicated military interface UX system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nciss.or.kr/xml/xmldom.asp?xmlidx=NCISS1143_1501
ISSN:2384-101X
2672-1163
DOI:10.29056/jncist.2025.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