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ice AI 기반 오디오북의 부모 수용성 비교 연구

본 연구는 AI 기반 오디오북에 대한 부모의 수용성을 TTS와 Voice AI 내레이션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UTAUT 모형을 활용해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73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2단계 실험 결과, 부모의 목소리를 모사하는 것이 컨셉인 Voice AI 콘텐츠는 기존 TTS보다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행동의도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력기대와 촉진조건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정성적 피드백에 따르면, Voice AI는 자녀에게 정서적 몰입을 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8) pp. 2063 - 2072
Main Authors 강유진, 최성호, 원종서, 김향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AI 기반 오디오북에 대한 부모의 수용성을 TTS와 Voice AI 내레이션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UTAUT 모형을 활용해 성과기대, 노력기대, 사회적 영향, 촉진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73명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2단계 실험 결과, 부모의 목소리를 모사하는 것이 컨셉인 Voice AI 콘텐츠는 기존 TTS보다 성과기대, 사회적 영향, 행동의도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력기대와 촉진조건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정성적 피드백에 따르면, Voice AI는 자녀에게 정서적 몰입을 유도하며 더 큰 감정적 연결감을 형성했다. 본 연구는 개인화된 AI 음성이 정서적 반응을 강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며, 유아용 디지털 미디어 설계 시 자녀와 부모 모두에게 공감되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d parental acceptance of AI-powered audio books by comparing TTS and Voice AI narration. Using the UTAUT model, it examined the effect of different narrations on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A two-stage experiment involving 73 observations revealed that Voice AI content that closely mimicked parent voice led to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behavioral intention compared with standard TTS. However, no major differences were noted in effort expectancy and facilitating conditions. Qualitative feedback emphasized that Voice AI narration fostered greater emotional immersion, making children feel more emotionally connected and engaged. Th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personalized AI voices in enhancing emotional engagement and highlight their value in designing early childhood digital media experiences that resonate with both children and par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