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랙티브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AI 콘텐츠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용자 경험의 매개 효과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AI 콘텐츠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의 매개 역할을 실증하였다. 인터랙티브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 형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험 결과 콘텐츠 유형에 따라 감정적 반응과 신뢰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맞춤형 콘텐츠가 정보형 콘텐츠에 비해 더 높은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였다. 사용자 경험은 콘텐츠 유형과 브랜드 태도 간의...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8) pp. 2039 - 204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인터랙티브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의 AI 콘텐츠 유형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의 매개 역할을 실증하였다. 인터랙티브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은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한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며,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태도 형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실험 결과 콘텐츠 유형에 따라 감정적 반응과 신뢰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맞춤형 콘텐츠가 정보형 콘텐츠에 비해 더 높은 긍정적 반응을 유도하였다. 사용자 경험은 콘텐츠 유형과 브랜드 태도 간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인터랙티브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중요한 수단으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role of user exper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I content types in interactive smart package design and brand attitude. AI content was classified into informational, customized, and conversational types, and their effects on user experience (cognitive usefulness, emotional response, immersion, and satisfaction) and brand attitude (favorability, trust, and attractiveness) were analyzed. One-way ANOVA showed that customized content generated significantly stronger emotional responses and trust compared with informational content. A mediation analysis using Baron and Kenny’s method confirmed that AI content types affected brand attitude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user experience.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emotional and personalized content in smart packaging enhances user engagement and brand trust, underscoring the strategic value of AI-based content in digital branding and communicati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009 2287-73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