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gislative Attempts to Protect the Democratic Public Sphere in the Algorithmic Age: A Critical Assessment of GDPR and CCPA as Institutional Responses to the Cambridge Analytica Scandal and Their Inherent Limitations

디지털 미디어 혁명은 정보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개인화 알고리즘이 만드는 ‘필터 버블’과 이념적 고립을 강화하는 ‘에코 챔버’는 민주적 공론장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부상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을, 왜곡된 알고리즘의 조류 (distorted algorithmic tides)’로 정리한다. 이 현상들의 실질적 영향력에 관해 '비판-경고적 접근'과 '신중-반박적 접근'의 학술적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현상의 존재 유무를 넘어 더 시급한 질문을 제기한다. GDP...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지방정치학회보, 15(2) pp. 55 - 85
Main Author 한은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한국지방정치학회 01.08.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6-085X
2672-0310
DOI10.23113/krpsa.2025.15.2.00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디지털 미디어 혁명은 정보 생태계를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 이 과정에서 개인화 알고리즘이 만드는 ‘필터 버블’과 이념적 고립을 강화하는 ‘에코 챔버’는 민주적 공론장에 대한 중대한 위협으로 부상했다. 본 논문은 이러한 현상을, 왜곡된 알고리즘의 조류 (distorted algorithmic tides)’로 정리한다. 이 현상들의 실질적 영향력에 관해 '비판-경고적 접근'과 '신중-반박적 접근'의 학술적 논쟁이 계속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현상의 존재 유무를 넘어 더 시급한 질문을 제기한다. GDPR과 CCPA/CPRA와 같은 데이터 주권 기반의 제도적 규제는 필터 버블과 에코 챔버의 핵심 작동 원리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그 내재적 한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 사례를 통해 유럽연합과 미국의 제도적 대응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이 규제들은 데이터 주권을 확립하는 중요한 첫걸음이지만, 주로 데이터 ‘공급’ 측면의 문제를 다룰 뿐 사용자의 자발적 행태라는 ‘수요’ 측면과 플랫폼 알고리즘의 ‘참여(engagement)’ 기반 논리를 규제하는 데는 명백한 한계가 있음을 보인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건강한 디지털 공론장의 재건을 위해서는 법적 규제를 보완하는 기술적 대안과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포함하는 다층적 접근이 필수적임을 주장한다. The digital media revolution has fundamentally transformed the information ecosystem. Within this landscape, the filter bubble, created by personalized algorithms, and the echo chamber, which reinforces ideological isolation, have emerged as critical threats to democratic discourse. This paper conceptualizes these phenomena as a distorted algorithmic tides. It metaphorically represents the power of algorithms to push the entire information ecosystem in a specific direction, much like a powerful and irresistible tide that is difficult for individuals to perceive. While an extensive debate exists between a critical-warning approach and a cautious-rebuttal approach regarding the real-world impact of these phenomena, this study moves beyond simply assessing their existence. It poses a more pressing question, To what extent can rights-based data regulations like the GDPR and CCPA/CPRA effectively counter the core mechanisms of filter bubbles and echo chambers, and what are their inherent limitations? Through a critical case study of the Cambridge Analytica scandal, this paper analyzes the institutional responses i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The analysis reveals that while these regulations are a crucial first step in establishing data sovereignty, they primarily address the supply-side problem of data collection and fall short of regulating the demand-side user behaviors and the engagement-driven logic of platform algorithms. Ultimately, this research argues that reconstructing a healthy digital public sphere requires a multi-layered approach that supplements legal regulation with technological alternatives and critical media literacy. KCI Citation Count: 0
ISSN:1976-085X
2672-0310
DOI:10.23113/krpsa.2025.15.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