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회당 권이진의 선비정신과 인성교육적 함의

본 논문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유회당 권이진(有懷堂 權以鎭, 1668–1734)의 삶을 고찰하고, 그 속에서 구현한 선비정신의 의미와 현대에 있어 인성교육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여 구성되었다. 권이진은 학문에 있어서는 집안교육인 가학(家學)과 사제지간을 통해 배웠다. 특히 증조부인 권득기의 올바름을 행하라는 ‘구시(求是)’ 정신, 조부 탄옹 권시의 ‘성(誠)’ 사상 등 가학과 외조부 우암 송시열의 ‘직(直)’ 사상, 고모부 명재 윤증의 ‘무실(務實)’ 학풍 등 사승 관계를 통합하여 실천적이고 도덕적 학문관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Yulgok sasang yŏn'gu pp. 183 - 208
Main Author 서원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사)율곡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8236
2713-7236
DOI10.35436/yulgok.2025.60..18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유회당 권이진(有懷堂 權以鎭, 1668–1734)의 삶을 고찰하고, 그 속에서 구현한 선비정신의 의미와 현대에 있어 인성교육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하여 구성되었다. 권이진은 학문에 있어서는 집안교육인 가학(家學)과 사제지간을 통해 배웠다. 특히 증조부인 권득기의 올바름을 행하라는 ‘구시(求是)’ 정신, 조부 탄옹 권시의 ‘성(誠)’ 사상 등 가학과 외조부 우암 송시열의 ‘직(直)’ 사상, 고모부 명재 윤증의 ‘무실(務實)’ 학풍 등 사승 관계를 통합하여 실천적이고 도덕적 학문관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학문관을 바탕으로 권이진의 선비정신은 ‘효(孝)의 실천’과 ‘예(禮)의 생활화’ 및 ‘청렴한 공직윤리’, ‘지행합일(知行合一)의 태도’라는 네 가지 핵심 덕목을 확립한다. 부모에 대한 효행과 조상에 대한 예절을 잊지 않고 지키며 청렴결백을 통한 공직생활을 실천하여 공직윤리를 확립했으며 사적 이익에 전혀 움직이지 않는 강직함을 발휘했다. 또한 지식과 행동을 일치시키고자 하는 지행합일의 원칙을 실천해 학문에 머무르지 않고 일상 생활과 공직에서 이를 실천하였다. 이러한 그의 선비정신은 현대 인성교육에 있어서도 좋은 방향설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는 개인화 되는 현대 속에서 가족과 공동체의 의미를 되새기는 ‘효 교육’은 세대 간 단절을 좁혀나가며 서로 공감하며 존중해 나가는 문화를 형성케 할 것이다. 둘째로는 ‘예절 교육’으로 예절하면 어렵게만 느끼지만 이제는 그의 예 실천을 배움으로써 학교 내외의 폭력 문제나 사회적 무질서 현상을 조금이나마 줄이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는 청렴성이다. ‘공직윤리와 청렴성 교육’은 이익과 성적에 몰두하는 학생들에게 공공의식과 책임감을 함양시킴으로써 정의롭고 성숙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넷째, 지행합일의 사고이다. ‘지식과 실천의 통합 교육’은 기존 단순 암기식 교육틀을 제거하고 배운 것을 그대로 실천하는 인재를 양성함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러한 것을 종합해 볼 때 유회당 권이진의 선비정신이 현대 인성교육의 내용 구성 및 프로그램 설계에 적극 활용되어진다면 교육 현장에서 좋은 교육프로그램으로 거듭날 가능성이 높기에 후속적으로 지속적 탐구가 요구된다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thought of Yuhoedang Kwon I-jin (1668–1734), a representative Confucian scholar of the late Joseon period,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his seonbi (virtuous scholar) spirit and its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character education. As a scholar-official deeply rooted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Kwon inherited and developed the intellectual and moral legacy of his lineage, integrating the “pursuit of truth” (gusi, 求是) of his great-grandfather Kwon Deuk-gi, the sincerity (seong, 誠) emphasized by his grandfather T’anong Kwon Si, the uprightness (jik, 直) advocated by his maternal grandfather Song Si-yeol, and the pragmatic realism (musil, 務實) promoted by his uncle Yun Jeung. These influences shaped Kwon’s unique ethical orientation and practical philosophy. Kwon I-jin’s moral thought did not remain confined to theoretical discourse but was embodied in his daily life and public service. His conception of Confucian practice was based on four core virtues: filial piety (hyo, 孝), the internalization of ritual propriety (ye, 禮), incorruptible public ethics, an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 (jihang hapil, 知行合一). Through his sincere devotion to his parents and ancestors, strict observance of ritual and social decorum, and incorrupt and resolute conduct as a public official, Kwon exemplified the Confucian model of ethical self-cultivation. His insistence on aligning moral knowledge with concrete practice distinguished his thought within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late Joseon Confucianism. This study further explores how Kwon I-jin’s seonbi spirit can inform the objectives and methodologies of modern character education. First, his emphasis on filial devotion offers insights into restoring intergenerational respect and empathy. Second, his ritual-based ethics suggest ways to address contemporary issue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social incivility. Third, his integrity-centered public service provides a normative model for educating responsible and trustworthy civic actors. Lastly, his consistent practice of integrating knowledge and action suggests an educational paradigm that transcends rote learning and fosters practical wisdom and moral agency. In conclusion, the ethical life and pedagogical vision of Kwon I-jin transcend their historical context and offer valuable perspectives for reimagining moral edu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His seonbi spirit serves as a philosophical and practical foundation for cultivating ethical individuals and revitalizing communal values in a fragmented modern world. KCI Citation Count: 0
ISSN:1738-8236
2713-7236
DOI:10.35436/yulgok.2025.60..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