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에서 이식건의 선택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은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비교할 때 임상 결과가 열등하며,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 여러 요인이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후 결과에 영향을 주지만, 이전 골터널의 처리와 적절한 이식건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만든 골터널의 확장과 이식건의 채취로 인해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이식건을 선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에서 특정 이식건이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는지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술자는 이식건을 선택하기 전에 환자의 개별적인 요인, 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72 - 81
Main Authors 배지훈, 안성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5.60.2.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은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과 비교할 때 임상 결과가 열등하며, 아직 알려지지 않은 것이 많다. 여러 요인이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후 결과에 영향을 주지만, 이전 골터널의 처리와 적절한 이식건의 선택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시 만든 골터널의 확장과 이식건의 채취로 인해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이식건을 선택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있다.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에서 특정 이식건이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는지는 아직 입증되지 않았다. 따라서 술자는 이식건을 선택하기 전에 환자의 개별적인 요인, 이전 수술의 실패 원인, 골터널의 상태, 이전 이식건의 유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이식건을 선택해야 한다. A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has inferior clinical outcomes to that of a primar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d there are many unknowns. Although many factors affect the outcome after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preparing the previous bone tunnel and selecting an appropriate graft are ver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selecting a graft during a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ecause of the previous bone tunnel widening produced during a primar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nd harvesting of the graft. It is unclear if a specific graft shows superior results in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Therefore, before selecting a graft, the surgeon must comprehensively consider the patient’s factors, the cause of graft failure, the condition of the previous bone tunnel, and the type of previous graft.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jkoa.org/DOIx.php?id=10.4055/jkoa.2025.60.2.72
ISSN:1226-2102
2005-8918
DOI:10.4055/jkoa.2025.60.2.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