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련소 배가스 내부 질소산화물 저감을 위한 NO산화제 분석 및 성능평가
본 연구에서는 NOX를 저감하는 기술 중 하나인 NO 산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산화제 종류에 따른 NO 산화율을 분석하고 기술적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NO2와 NOX의 제거율을 NaOH 농도에 따라 분석하여 실제 NOX 저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 NaClO2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50℃에서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산화율을 나타냈으며 ClO2의 경우에는 낮은 온도와 0.05 wt%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2) 하지만 H2O2와 NaClO의 경우에는 높은 온도와 높은 농도에서도 낮은 산화...
        Saved in:
      
    
          | Published in | 설비공학 논문집, 37(6) pp. 259 - 268 | 
|---|---|
| Main Authors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대한설비공학회
    
        01.06.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6422 2465-7611  | 
| DOI | 10.6110/KJACR.2025.37.6.259 | 
Cover
| Summary: | 본 연구에서는 NOX를 저감하는 기술 중 하나인 NO 산화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산화제 종류에 따른 NO 산화율을 분석하고 기술적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뿐만 아니라, NO2와 NOX의 제거율을 NaOH 농도에 따라 분석하여 실제 NOX 저감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1) NaClO2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인 50℃에서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산화율을 나타냈으며 ClO2의 경우에는 낮은 온도와 0.05 wt%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2) 하지만 H2O2와 NaClO의 경우에는 높은 온도와 높은 농도에서도 낮은 산화율을 보임으로써 NOx 저감 산화제로써의 역할은 수행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었다.
(3) 이러한 산화제를 사용하여 최종 NO2와 NOx 제거율을 분석하였을 때, 약 염기조건에서 흡수효율이 가장 높았으며 최대 83.67%로 계산되었다. Nitrogen oxides (NOx) are significant pollutants generated in large quantities during production processes of domestic smelting facilities, arising primarily from fossil fuel combustion. Due to their harmful environmental and health impacts, NOx emissions are subject to stringent global regulations. The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method using ammonia is widely employed for NOx mitigation. However, this approach is economically challenging due to its high consumption of ammonia, reliance on costly metal oxide catalysts, and necessity of maintaining elevated operating temperatures. Additionally, the predominant component of NOx, nitric oxide (NO), exhibits low solubility in water, resulting in limited reduction efficiency. To address these limitations, research has increasingly focused on pre-oxidizing NO into nitrogen dioxide (NO2) to enhance its solubility and facilitate removal via wet absorption techniques. In this study, the actual performance of NOx emissions from smelting facilities was analyzed under various conditions, considering the type of oxidizing agent,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Oxidation rates were systematically measured. Experiments combining oxidation and absorption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NOx removal.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optimizing NOx reduction strategies for smelting processes. KCI Citation Count: 0 | 
|---|---|
| Bibliography: | http://journal.auric.kr/kjacr | 
| ISSN: | 1229-6422 2465-7611  | 
| DOI: | 10.6110/KJACR.2025.37.6.2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