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국가의 재구성: 국제질서 변화 속 우즈베키스탄의 국가주도 발전전략
이 논문은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우즈베키스탄이 추진하는 국가 주도 발전 전략을 분석하고 있다. 체제 전환을 시작한 이후 우즈베키스탄의 발전 경로는 선별적 폐쇄 권위주의 체제에서 적극적 개방 권위주의 체제로 변환되는 과정을 밟고 있지만, 발전을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 것은 바뀌지 않았다.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베키스탄이라는 민족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경제 발전을 다른 가치보다 앞세우고 성장을 적극 추진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은 자국의 부존자원과 생산요소가 결합한 비교우위 분야인 면화, 농업, 금광 산업를 벗어나 국가의 시장 개입에...
Saved in:
Published in | 중소연구, 49(1) pp. 319 - 36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아태지역연구센터
01.05.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012-3563 2508-5425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국제질서의 변화 속에서 우즈베키스탄이 추진하는 국가 주도 발전 전략을 분석하고 있다. 체제 전환을 시작한 이후 우즈베키스탄의 발전 경로는 선별적 폐쇄 권위주의 체제에서 적극적 개방 권위주의 체제로 변환되는 과정을 밟고 있지만, 발전을 국가정책의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 것은 바뀌지 않았다.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베키스탄이라는 민족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경제 발전을 다른 가치보다 앞세우고 성장을 적극 추진하였다.
우즈베키스탄은 자국의 부존자원과 생산요소가 결합한 비교우위 분야인 면화, 농업, 금광 산업를 벗어나 국가의 시장 개입에 의해 자동차, 항공 물류, 석유화학, IT, 태양광 등으로 산업다각화를 이루었다. 그 과정에서 우즈베키스탄 정부는 국제환경을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카리모프는 글로벌라이제이션이 주는 기회 못지않게 리스크가 크다는 점을 인지하고 선별적 폐쇄 개혁 정책을 채택하였다면 미르지요예프는 탈세계화와 미중 패권 경쟁과 러우 전쟁을 활용하여 다소 개방 정책을 채택하였다. 이처럼 우즈베키스탄은 국제질서 변화 속에서 우즈베키스탄은 개방 경제정책을 강화하고 있으며, 주변 강대국들과의 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 러시아뿐 아니라 서방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하면서 독립적이고 균형적인 외교 노선을 유지하는 발전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발전 전략으로서 산업 다각화 및 디지털경제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해외 투자 유치를 위해 개혁 정책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우즈베키스탄은 발전 목표와 전략적으로 연계된 대외경제 협력을 통해 동아시아 발전국가들이 능동적으로 산업화를 주도하고, 외부 환경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경제발전과 구조 전환을 추구하는 발전 경로를 밟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a state-led development strategy that Uzbekistan is promoting in the midst of changing international orders. Since Uzbekistan began transforma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its development path has shifted from a selective, closed authoritarian regime to a more active, open authoritarian one. However, the prioritization of national policy on development remains unchanged. Uzbekistan has actively pursued growth by emphasizing economic development over other values based on the ethnic homogeneity of the Uzbek people.
Driven by state intervention in the market, the country has diversified its industrial base into areas such as automobiles, aviation logistics, petrochemicals, IT, and solar energy, breaking away from areas of comparative advantage based on its natural resources such as cotton, agriculture, and gold mining. In this process, the Uzbek government has taken advantage of the global environment. While the Karimov government adopted a selective and closed reform strategy, acknowledging that globalization posed as many risks as opportunities, the Mirziyoyev government pursued a more open policy, taking advantage of deglobalization, the US–China hegemonic competition, and the Russia–Ukraine war. Uzbekistan is strengthening its open economic policy amid changing international dynamics and promoting cooperation with strong states and regional neighbor countries. The country has adopted a development strategy that maintains an independent and balanced diplomatic stance while expand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the West, in addition to China and Russia. As part of its development strategy, the country is promoting industrial diversification and building a digital economy, and it continues to promote a reform policy to secure foreign investment as needed.
Uzbekistan is following a development path in which developing countries in East Asia are actively leading the way to industrialization on the basis of foreign economic cooperation strategically linked to the country’s development goals and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trategic us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012-3563 2508-5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