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 기호학 관점에서 본 힐링 게임에 관한 연구 - 디지털 게임 <그리스(Gris)>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기호학적 관점에서 힐링 게임 <그리스(Gris)>가 플레이어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게임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스의 주요 장면을 표상체, 대상체, 해석체로 나누어 분석하며, 색채와 시각적 상징,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플레이어가 주인공의 감정 변화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몰입하게 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힐링 게임은 상실과 슬픔을 직면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적 치유와 공감을 제공하며,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위안을 원하는 현대인에게 새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5(5) pp. 51 - 61
Main Authors 구양림자, 김세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5.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5.25.05.0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기호학적 관점에서 힐링 게임 <그리스(Gris)>가 플레이어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게임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스의 주요 장면을 표상체, 대상체, 해석체로 나누어 분석하며, 색채와 시각적 상징,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플레이어가 주인공의 감정 변화를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몰입하게 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힐링 게임은 상실과 슬픔을 직면하고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감정적 치유와 공감을 제공하며, 정서적 안정과 심리적 위안을 원하는 현대인에게 새로운 위로의 형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힐링 게임에서 사용되는 색채와 상징적 이미지, 환경과의 상호작용은 감정 표현과 공감 형성을 위한 디자인 기법으로 다양한 게임 장르에 적용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디자인 기법은 플레이어와의 감정적 몰입을 강화해, 게임의 예술적 가치와 사회적 의미를 높이며 정신 건강 개선을 위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로도 활용 가능성이 있다. 나아가 힐링 게임의 사례는 심리적 위안을 제공하는 새로운 게임 시장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motional impact of the healing game Gris on player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exploring how it can contribute to advancements within the gaming industry. By examining key scenes in Gris through the categories of representamen, object, and interpretant, we investigated how elements such as color, visual symbolism,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s help players intuitively understand and immerse themselves in the protagonist's emotional journey. Findings reveal that healing games can offer emotional healing and empathy by guiding players through processes of confronting and overcoming loss and sadness, thus serving as a unique form of comfort for those seeking emotional stability and psychological relief in modern society. Furthermore, the use of color, symbolic imagery, and environmental interactions in healing games demonstrates high potential for application across various gaming genres as a design technique for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y-building. These methods deepen players' emotional engagement, enhancing the artistic and social value of games and positioning them as interactive content with potential benefits for mental health.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5.25.05.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