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ltus 모형을 활용한 문항 특성에 따른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 탐색
이 연구는 문항 특성에 따른 문항반응이 이질적인 잠재집단을 탐색함으로써 검사에 존재하는 문항군 단위의 차별기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혼합 문항반응이론 모형의 하나인 Saltus 모형을 활용하여 PISA 2022 과학 영역 검사에 대한 한국 학생들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문항 특성 정보로 문항 유형, 맥락, 역량, 지식 차원을 반영하여 문항군을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항 유형에 따른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은 없었고, 맥락 차원에서는 개인적 맥락과 지역적/국가적 맥락의 문항군이 모두 유리하게 기능한 잠재집단이 존재...
Saved in:
| Published in | 교육과정평가연구, 28(2) pp. 217 - 248 |
|---|---|
| Main Author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1.05.2025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229-1544 2671-728X |
| DOI | 10.29221/jce.2025.28.2.217 |
Cover
| Summary: | 이 연구는 문항 특성에 따른 문항반응이 이질적인 잠재집단을 탐색함으로써 검사에 존재하는 문항군 단위의 차별기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혼합 문항반응이론 모형의 하나인 Saltus 모형을 활용하여 PISA 2022 과학 영역 검사에 대한 한국 학생들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문항 특성 정보로 문항 유형, 맥락, 역량, 지식 차원을 반영하여 문항군을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문항 유형에 따른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은 없었고, 맥락 차원에서는 개인적 맥락과 지역적/국가적 맥락의 문항군이 모두 유리하게 기능한 잠재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량 차원에서는 자료 및 증거의 과학적 해석 문항군이 차별적으로 기능하였는데 한 잠재집단에서 해당 문항군은 불리하게 기능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지식 차원에 따른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은 절차적 지식 문항군에서만 확인되었다. 더불어 맥락 및 역량에 따른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잠재집단 간 학생의 배경 변인과 과학 과목 학습 관련 교육맥락 변인의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문항 특성에 따른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을 탐색함으로써 다양한 차별기능문항(군) 분석 방법의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잠재적 차별기능문항(군) 탐색의 결과를 검사 타당도 근거뿐 아니라 교육적 지원의 정보로 활용하는 접근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tect 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by identifying latent classes that respond heterogeneously to items according to item features. For this purpose, the response data of Korean students to the science assessment in PISA 2022 were analyzed using the Saltus model, a type of mixed item response theory model. Item bundles were defined by reflecting item features such as item type, context, competency, and knowledge dimen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re was no 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based on item type. In the context dimension, latent groups were found in which both the personal context and regional/national context item bundles functioned advantageously. In the competency dimension, the item bundle related to the scientific interpretation of data and evidence showed 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and in one latent group, this bundle was found to function disadvantageously. 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according to the knowledge dimension was identified only in the procedural knowledge item bundle. Moreover, differences in background and educational contextual variables were observed across latent classes in which 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was present. This study aim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for various analysis methods of differential item (or bundle) functioning by exploring latent differential bundle functioning according to item features.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posing an approach that utilizes the results of detecting differential item or bundle functioning not only as evidence for test validity but also as information for instructional support. KCI Citation Count: 0 |
|---|---|
| ISSN: | 1229-1544 2671-728X |
| DOI: | 10.29221/jce.2025.28.2.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