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 과정과 리그레션 -에른스트 크리스의 예술 자아론
이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을 예술에 처음 적용한 미술사학자 에른스트 크리스의 이론적 성취와 한계를 조명하고 그 의의를 재평가함에 있다. 캐리커처 심리학, 18세기 독일 조각가 프란츠 크사버 메서슈미트의 정신질환, 예술과 리그레션, 영감, 창작 과정의 심리적 구조, 마술(주술)과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는 그의 연구의 중심에는 이른바 예술 자아론이 있다. 이 논문은 그 이론의 핵심인 “자아에 기여하는 리그레션”이란 개념이 기존의 창작 연구를 확장해 줄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연구 방법은 아래 네 가지 측면으로 구성...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26(2) pp. 153 - 16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6.2.12 |
Cover
Summary: | 이 논문의 목적은 정신분석을 예술에 처음 적용한 미술사학자 에른스트 크리스의 이론적 성취와 한계를 조명하고 그 의의를 재평가함에 있다. 캐리커처 심리학, 18세기 독일 조각가 프란츠 크사버 메서슈미트의 정신질환, 예술과 리그레션, 영감, 창작 과정의 심리적 구조, 마술(주술)과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분야를 망라하는 그의 연구의 중심에는 이른바 예술 자아론이 있다. 이 논문은 그 이론의 핵심인 “자아에 기여하는 리그레션”이란 개념이 기존의 창작 연구를 확장해 줄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탐구한다. 연구 방법은 아래 네 가지 측면으로 구성된다. 1) 자아와 리그레션에 관한 프로이트의 이론과 비교해 크리스의 이론이 다른 점을 살펴본다. 2) 창작과 리그레션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크리스가 제안한 “자아에 기여하는 리그레션”이란 개념이 왜 그의 캐리커처 심리학 논문에서 처음 소개되었는지 그 심리학적 근거를 검토한다. 3) 마술(주술) 시대에서 커뮤니케이션 시대로 발전하는 크리스의 미술사관이 그의 메서슈미트 분석에 끼친 부정적 영향을 문제시한다. 4) 메서슈미트의 정신질환에 관해 크리스가 인용한 당대 문헌 자료의 신뢰성을 검증, 비판한다. 여기서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I) 크리스는 프로이트와 달리 창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리그레션이 작가의 자아를 위해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지적했는데, 이건 창작 연구의 획기적인 돌파구를 의미한다. II) 캐리커처는 주술과 달리 1차 과정에 의해 변형된 이미지를 작가의 주관적 관점으로 투영한다는 점에서 모던 아트의 원형이라고 크리스는 주장했는데, 이 또한 파격적이다. III) 하지만 크리스는 놀랍게도 I)과 II)를 정작 그의 첫 시범 사례인 메서슈미트에게는 적용하지 않았다. IV) 그의 이론적 한계를 잘 보여주는 이 이중성은 프로이트의 영향 아래 그가 느끼고 있던 내적 갈등을 유추해 볼 여지를 준다. Ernst Kris was the first art historian who applied psychoanalysis to his fie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evaluate the significance of his work by shedding light on both the achievements and the shortcomings of it. The topics he tackled for his research range from the psychology of caricature, the psychosis of the eighteenth-century German sculptor Franz Xaver Messerschmidt, art and regression, inspiration,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creative process, to magic and communication. But in the center of all this lies his ego theory in art, arguably his most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creativity.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nucleus of his ego theory in art, namely “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he ego,” in order to see how this concept could help to expand the existing idea of regression, which still tends to be seen in a negative light. The method by which this paper advances its argument is fourfold: 1) compare Kris’s theory on ego and regression to Freud’s and see where they differ; 2) ask why Kris’s concept of “regression in the service of the ego” was first proposed in his paper on the psychology of caricature and investigate its psychological premise; 3) question how Kris’s view of history progressing from the period of magic to that of communication affected the way he analyzed Messerschmidt; and 4)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historical documents Kris cited in support of Messerschmidt’s psychosis. The following then are the findings of this paper: I) Kris, in contrast to Freud, champions the positive role regression plays in a creative process thereby strengthening the artist’s ego, and this is to be commended as an innovative breakthrough; II) Kris regards caricature as a prototype of modern art because it, unlike magic, projects the altered image from the primary process in the artist’s own subjective way, a claim that is bold as well as groundbreaking; III) on the other hand, Kris fails to apply the insights of I) and II) to his analysis of Messerschmidt, which throws doubt on its trustworthiness; but IV) this double standard, which betrays his theoretical limits in the end, may well be a symptom manifesting his internal struggle under the powerful influence of Freud.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9&idx=2796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26.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