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지리수업의 효과성 연구
중등 지리교육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관심은 증가했지만,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으로 교실 적용과 확대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발달로 학생들이 웹툰 등 디지털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리교육 도구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등 지리 수업의 효과성과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AI 기반 수업은 학생들의 장소감 형성, 지리적 상상력 확대, 문화적 포용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4) pp. 885 - 89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Cover
Summary: | 중등 지리교육에서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한 관심은 증가했지만, 디지털 콘텐츠 제작의 어려움으로 교실 적용과 확대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발달로 학생들이 웹툰 등 디지털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디지털 스토리텔링이 지리교육 도구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생성형 AI 기반 디지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중등 지리 수업의 효과성과 활용 가능성을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AI 기반 수업은 학생들의 장소감 형성, 지리적 상상력 확대, 문화적 포용력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챗GPT와 DALL-E 활용으로 웹툰 제작 시간이 단축되어 실현 가능성이 높아졌다. 효과성을 높이려면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및 비판적 사고 능력 함양이 필요하며, AI 생성 결과물의 검수 및 수정 과정이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Interest in storytelling in secondary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but the difficulty of producing digital content has limited the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storytelling in classes. However, the rapid development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created an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easily produce digital content, including webtoons. Hence, digital storytelling techniques are again receiving attention as teaching tools in geography educa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secondary school geography classes using generative AI-based digital storytelling and its applicability in classrooms. The results show that AI-based digital storytelling classes positively affect students’ formation of a sense of place, expand geographical imagination, and promote tolerance for new cultures. In addition, the use of ChatGPT and DALL-E shortened webtoon production time and thereby increased field applicabilit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AI-based digital storytelling classes, students’ media literacy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should be fostered. Hence, a review and revision process for AI-generated results is essential.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009 2287-73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