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지 디자인의 시각적 일관성에 관한 연구: 폰트 디자인 원칙 중심으로

1999년 일본에서 처음 디자인된 이모지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감정과 메시지 전달, 행동을 나타내는 시각 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은 이모지의 시각적 일관성에 주목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기존의 감정 전달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집중된 연구와는 다르게, 이모지 디자인의 시각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다. 애플의 이모지를 대상으로 크기와 비율이 일관되게 유지되는지, 기울기나 방향이 어떻게 디자인되어 있는지, 그리고 다양한 이모지들의 기본 형태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5(4) pp. 887 - 894
Main Authors 이병옥, 반영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4.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4.25.4.88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1999년 일본에서 처음 디자인된 이모지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며 감정과 메시지 전달, 행동을 나타내는 시각 문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은 이모지의 시각적 일관성에 주목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기존의 감정 전달 및 커뮤니케이션 기능에 집중된 연구와는 다르게, 이모지 디자인의 시각적 영역을 중심으로 한다. 애플의 이모지를 대상으로 크기와 비율이 일관되게 유지되는지, 기울기나 방향이 어떻게 디자인되어 있는지, 그리고 다양한 이모지들의 기본 형태나 구조가 일관성을 가졌는지 등 세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이모지 디자인의 시각적 일관성을 분석했다. 본 분석을 통해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모지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현상을 반영하며, 이모지 디자인의 시각적 일관성 유지 방안을 탐색함으로써 그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Emojis, first designed in Japan in 1999, are now globally used as visual characters that convey emotions, messages, and action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isual consistency of emojis, which have become an important element in digital communication.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emotional transmission and communication functions, this study focuses on the visual aspects of emoji desig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size and proportions of Apple's emojis are consistently maintained, how their tilt and orientation are designed, and whether the basic shapes and structures of various emojis are consistent. Through this analysis, we highlight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mojis in digital communication and explore the possibilities for the development of emojis by investigating ways to maintain emojis’ visual consistency.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
DOI:10.9728/dcs.2024.25.4.8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