弦窩 高光善의 학문과 강학 활동 - 蘆沙學脈의 지속과 확대에 유의하여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노사학파(蘆沙學派)가 19세기 중반 이후 근 1백여 년간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며 적어도 호남 지역 내에서 학문적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다수의 문인이 호남 지역 내에 분포했기 때문이다. 기정진과 함께 그의 직전 제자들의 강학이 더해지면서 노사학파는 호남의 거의 전 지역에서 문인을 배출하며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직전 제자들의 강학 활동과 이에 따른 문인 배출은 노사학파의 지속과 확장의 확실한 기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 18...
Saved in:
Published in | Yulgok sasang yŏn'gu pp. 247 - 28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율곡학회
01.03.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5.59..247 |
Cover
Summary: | 기정진(奇正鎭, 1798∼1879)의 노사학파(蘆沙學派)가 19세기 중반 이후 근 1백여 년간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며 적어도 호남 지역 내에서 학문적 영향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다수의 문인이 호남 지역 내에 분포했기 때문이다. 기정진과 함께 그의 직전 제자들의 강학이 더해지면서 노사학파는 호남의 거의 전 지역에서 문인을 배출하며 학문적 영향력을 확대 강화하였다는 점에서 직전 제자들의 강학 활동과 이에 따른 문인 배출은 노사학파의 지속과 확장의 확실한 기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현와(弦窩) 고광선(高光善, 1855∼1934)은 노사학파의 직전 제자 가운데 강학을 통해 다수의 문인을 배출한 대표적인 문인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어려서 가문 내에서 초학을 익히고 기정진의 대표 제자 중 한 사람인 덕암(德巖) 나도규(羅燾圭, 1826~1885)의 문하를 거쳐 기정진의 문하에 입문하였다. 수학 기간은 길지 않았지만, 기정진의 문하에서 학문을 익힌 그는 기정진 사후에 송사(松沙) 기우만(奇宇萬, 1846∼1916)을 비롯하여 주요 직전 제자들과 교유하며 학문 활동을 전개하였다. 특히 그는 고경명(高敬命, 1533∼1592)으로 대표되는 가학 전통을 계승하여 혼란한 시대 상항에서 절의적 면모를 부각하며 엄이재(掩耳齋)와 봉산정사(鳳山精舍)를 중심으로 강학 활동에 매진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근거지인 광주 지역을 중심으로 7백 명을 상회하는 문인을 배출하였다.
본고에서는 고광선의 학문적 영향력에 유의하여 먼저 그의 학문 형성과 활동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의 가문은 고경명 이후 주요 선조를 통해 절의적 면모가 두드러졌다는 점에 유의하여 그의 학문 형성 배경으로서 그의 가학을 정리하고, 이후 그의 학문적 입장과 관련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첫 스승인 나도규을 비롯하여 비중이 큰 학문 연원인 기정진과의 학문 수수에 관한 내용을 대략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엄이재와 봉산정사를 중심으로 펼쳐진 그의 강학 활동을 정리하고, 그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의 규모와 체계 등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강학을 중심으로 그의 문인들이 펼친 주요 학문 활동과 함께 이들의 문하에서 배출된 문인들의 규모와 체계를 정리하여 고광선을 매개로 이어진 노사학파의 학맥 흐름을 정리하였다. The fact that the Nosa School(蘆沙學派) of Ki Jeong-jin(奇正鎭, 1798∼1879) was able to maintain its scholastic appearance for nearly 100 years since the mid-19th century and maintain its academic influence at least in the Honam(湖南) region was because many of its writers were distributed in the Honam region. As the lectures of Ki Jeong-jin and his disciples were added, the Nosa School expanded and strengthened its academic influence by producing writers from almost all of Honam. In that sense, the lecture activities of his immediate disciples and the resulting production of writers were a solid foundation for the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Nosa School.
In this paper, I examine Hyeonwa(弦窩) Ko Gwang-seon(高光善, 1855∼1934), a representative scholar among the disciples of the Nosa School, who produced many scholars through his lectures. He learned the basics in his family at a young age, and entered the discipleship of Deokam(德巖) Na Do-gyu(羅燾圭, 1826∼1885), one of Ki Jeong-jin’s representative disciples, before entering Ki Jeong-jin’s discipleship. Although his period of study was not long, he studied under Ki Jeong-jin and engaged in academic activities after Ki Jeong-jin’s death, interacting with his major immediate disciples, including Songsa(松沙) Ki U-man(奇宇萬, 1846∼1916). In particular, he inherited the family tradition represented by Ko Gyeong-myeong(高敬命, 1533∼1592), and devoted himself to his lectures, focusing on Eomi-jae(掩耳齋) and Bongsan-Jeongsa(鳳山精舍), while emphasizing his integrity in the midst of the turbulent times. He also produced over 700 students, mainly in the Gwangju(光州) area, which was his educational space.
In this paper, I first tried to organize Ko Gwang-seon’s academic influence and his academic formation and activities. I tried to organize his family’s academic background as the background of his academic formation, noting that his family’s major ancestors after Ko Gyeong-myeong were distinguished by their integrity. In addition, I roughly reviewed the contents of his academic studies with his first teacher, Na Do-gyu, who had a significant role in his academic position, as well as Ki Jeong-jin, who was a significant academic source. Then, I organized his lecture activities centered around Eomi-jae and Bongsan-Jeongsa, and confirmed the scale and system of the scholars who came from his school. In addition, I organized the major academic activities of his scholars centered around lectures, along with the scale and system of the scholars who came from their school, and examined the academic flow of the Nosa School that continued through Ko Gwang-seon.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738-8236 2713-7236 |
DOI: | 10.35436/yulgok.2025.59..2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