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자기결정권 행사능력평가 척도의 타당화

본 연구는 2020년 개발된 성적 자기결정권 행사능력평가 척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척도를 보완하고 타당화하였다. 척도의 자기보고형 영역에서 아동·청소년 및 지적장애인의 성범죄 특징을 반영하여 문항을 확충 및 수정하였으며, 평정 방식을 지적장애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만 14∼ 18세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리커트 척도로 평정했던 시나리오 영역은 응답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4개의 개방형 질문으로 대신하였다. 이를 토대로 17명의 청소년 및 지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euteureseu yeon-gu (Online) pp. 33 - 44
Main Authors 손유정, 홍현기, 김기평, 지형기, 조혜현, 이채빈, 현명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스트레스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5.33.1.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2020년 개발된 성적 자기결정권 행사능력평가 척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척도를 보완하고 타당화하였다. 척도의 자기보고형 영역에서 아동·청소년 및 지적장애인의 성범죄 특징을 반영하여 문항을 확충 및 수정하였으며, 평정 방식을 지적장애인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만 14∼ 18세 청소년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리커트 척도로 평정했던 시나리오 영역은 응답편향을 방지하기 위해 4개의 개방형 질문으로 대신하였다. 이를 토대로 17명의 청소년 및 지적 제한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수검자의 답변을 기반으로 5가지 채점기준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척도를 피해자 중심으로 수정 제작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refine and validate the Sexual Self-Determination Competency Assessment Scale (2020) to enhanc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scale comprises self-reported and scenario-based sections. We revised item phrasing; expanded content to better address sexual crimes involving children, adolescents, an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djusted the scoring method for better comprehension by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vised scale was administered to 50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14∼18 to assess reliability and validity. Additionally, we replaced Likert-scale items with open-ended questions to minimize response bias in the scenario-basedsec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7 adolescents and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limitations. Results: The self-report section demonstrated content validity through an expert review of item appropriateness.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ies were confirmed through statistical analyses.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also high. In the scenario-based section, four open-ended questions were finalized based on interview data, and five scoring criteria were developed to evaluate responses. Conclusions: This study improved the format and content of the existing scale, thereby enhancing its applicability in investigative and practical contexts. Notably, modifying scenario-based items to an open-ended format enables a qualitative assessment of perception, judgment, and coping abilities in sexual offense scenarios, represent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KCI Citation Count: 0
ISSN:1225-665X
2234-1668
DOI:10.17547/kjsr.2025.33.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