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성별에 따른 협동심 및 운동시간 변화분석

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제공하고 있는 6년간의 최종 종단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성별에 따른 협동심 및 운동시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해 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78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심의 하위 변인 집단촉진 변화는 중학교 저학년 시기에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높았으나, 중학교 3학년 이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팔로워십...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27(1) pp. 27 - 38
Main Authors 최정윤, 김세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01.03.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225
2671-913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에서 제공하고 있는 6년간의 최종 종단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성별에 따른 협동심 및 운동시간의 변화 양상을 분석해 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785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있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협동심의 하위 변인 집단촉진 변화는 중학교 저학년 시기에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높았으나, 중학교 3학년 이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팔로워십 변화는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고, 남녀 학생 모두 고학년이 될수록 감소하였다. 갈등문제해결 변화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았고, 남녀학생모두 고등학교 1학년 시기 이후 크게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운동시간 변화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학년이 높아질수록 감소하였고,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평균 운동시간이 낮았다. 따라서 향후 청소년의 바람직한 성장 발달을 위해 사회성 함양과 신체활동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changes in cooperation and exercise time among Korean adolescents based on gender, using the final six-year longitudinal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To achieve this, a total of 1,785 adolescents were examined using a two-factor repeated measures ANOVA to verif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cooperation, the facilitation effect was higher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during the early middle school years; however, after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exhibited higher levels than male students. Followership was generally higher in female students than in male students, and both genders demonstrated a decreasing trend as they progressed school year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was also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but it significantly declined for both genders afte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Lastly, exercise time decreased as students advanced in school, with female students having a lower average exercise time than male student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to comprehensively consider both social skill development and physical activity to foster the balanced growth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4225
2671-9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