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분석법(AHP) 기반한 안경 코 받침의 디자인 평가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안경 코 받침 디자인의 착용감 평가를 탐색하고, 안경 착용 시 코 받침이 착용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했으며, 연구 방법은 다양한 문헌 검색을 통해 디자인과 관련된 문헌들을 기초로 디자인 평가요소를 추출했다. 둘째, 수집된 평가요인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연구자가 평가요인 간의 잠재적 관계를 식별하고 공통 요인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요인 분석을 기반으로 계층적 분석(AHP)을 사용하여 각 디자인 체험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정량화했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EF...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26(1) pp. 85 - 96
Main Authors 두전하오, 조광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안경 코 받침 디자인의 착용감 평가를 탐색하고, 안경 착용 시 코 받침이 착용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했으며, 연구 방법은 다양한 문헌 검색을 통해 디자인과 관련된 문헌들을 기초로 디자인 평가요소를 추출했다. 둘째, 수집된 평가요인들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진행했다. 이를 통해 연구자가 평가요인 간의 잠재적 관계를 식별하고 공통 요인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요인 분석을 기반으로 계층적 분석(AHP)을 사용하여 각 디자인 체험요인의 상대적 중요성을 정량화했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EFA와 AHP의 결과를 종합하여 안경 코 받침 디자인 체험 요소에 대한 가중치 순위 모형을 구축했다. 결과적으로 다양한 디자인 체험요인이 사용자의 착용 체험에 어떻게 미치는지 구체적인 영향을 밝히고, 안경 디자인에 대한 체험적 지원을 제공하며, 향후 디자인 개선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안경 코 받침 디자인에서 기능 혁신 요인이 가장 큰 관심을 받으며, 다음으로는 디자인 혁신 요인과 감정 혁신 요인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안경 사용자들은 코 받침에 대하여 기능적 디자인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인체공학과 편리성 그리고 합리성으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인체공학적 연구를 통해 코 모양에 따른 특징을 심층 분석하여 다양한 얼굴형을 가진 사람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안경 코 받침의 형태와 재질을 제공해야 하며, 안경 전체 형태와 구조와 코 받침과의 조화에 집중해야 한다. 또한 안경 전체의 가벼움과 미관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지지가 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안경 코 받침의 디자인 최적화를 위해 기능, 디자인, 감성 요인의 상호작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와 환경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디자인 방향을 제공한다. 나아가 향후 안경 코 받침의 형태, 재질, 구조적 조화 등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We explored the evaluation of nose pads design comfort and analyzed factors affecting comfort when wearing glasses. The research first extracts design evaluation factors from related literature. Seco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quantitatively analyzes the collected evaluation factors, identifying potential relationships and classifying them into common factors. Based on this, the study quantifi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design experience factor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Finally, results from EFA and AHP are synthesized to build a weighted ranking model for nose pad design experience factors. This reveals the influence of design factors on user experience, provides experiential support for glasses nose pads design, and offers guidelines for future improvements. Results show functional innovation factors receive the most attention, followed by design and emotional innovation factors. Most nose pad users prioritize functional design, especially ergonomics, convenience, and rationality. Ergonomic research should deeply analyze nose shape features to design pads meeting diverse needs. Additionally, the harmony between nose pads and overall glasses structure is crucial for stable support without compromising lightness or appearance. This study suggests optimizing nose pad design by considering functional, design, and emotional factor interactions, providing a foundation to improve nose pad shape, material, and structural harmony for diverse user need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8&idx=2778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