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레인지 조작부에 사용된 아이콘 의미 연구 -유럽 및 중남미형 20L 전자레인지를 중심으로

필수가전제품 중 하나인 전자레인지의 조작부 아이콘에 대한 의미 전달 과정과 직관성을 탐구하는 기호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아이콘의 관계를 기호학적으로 이해하고 어떻게 의미를 생성시키고 또한, 그 의미가 어떤 의미인지를 상징적 기호 차원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퍼스(Charles S. Peirce)의 기호 삼원론을 기반으로 전자레인지 조작부에서 사용되는 상징적 기호(Symbolic Sign)의 역할과 의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유럽과 중남미지역에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판매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26(1) pp. 339 - 351
Main Author 정안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2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필수가전제품 중 하나인 전자레인지의 조작부 아이콘에 대한 의미 전달 과정과 직관성을 탐구하는 기호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자레인지의 기능과 아이콘의 관계를 기호학적으로 이해하고 어떻게 의미를 생성시키고 또한, 그 의미가 어떤 의미인지를 상징적 기호 차원에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퍼스(Charles S. Peirce)의 기호 삼원론을 기반으로 전자레인지 조작부에서 사용되는 상징적 기호(Symbolic Sign)의 역할과 의미작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유럽과 중남미지역에서 2013년부터 2020년까지 판매된 20L 전자레인지 모델 중 판매 순위 상위에 있고 정보수집이 용이한 삼성, LG, 대우 브랜드의 대표모델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각 브랜드별 전자레인지 조작부의 아이콘 중 공통 기능을 제공해 비교분석이 가능한 유럽지역은 3가지, 중남미지역은 2가지 기능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기호의 유형 중 상징적 기호(Symbolic Sign)를 중심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한계는 지표적 기호(Indexical Sign) 및 도상적 기호(Iconic Sign)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포함하지 않은 점이다. 연구 결과, 전자레인지 조작부의 아이콘은 기호체(Representamen)와 대상체(Object)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가 의미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사용자의 경험과 사회적 학습 때문에 영향을 받는 심리적 개념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화적 차이에 따라 같은 아이콘이 다르게 해석될 가능성이 높아 보편적이고 직관적인 디자인이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전자레인지 조작부 아이콘의 의미 전달 방식과 사용자 경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한 표준 그래픽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추출된 의미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글로벌 가전제품 UI 디자인의 표준화 방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A semio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rocess and intuition of the icon of the operation unit of the microwave oven, one of the essential home appli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and the icon of a microwave oven semiotic, how to create the meaning, and what it means at the symbolic dimension. To this end, based on Charles S. Peirce's three-way theory of symbols, the role and semantic function of symbolic signs used in microwave operation units were analyzed. The scope of the study was representative models of Samsung, LG, and Daewoo brands that are at the top of the sales ranking among the 20L microwave models had been sold from 2013 to 2020 in Europe and Latin America and are easy to collect information. In addition, by providing common functions among the icons of the microwave operation unit for each br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as limited to three functions in Europe and two functions in Latin America. Among the types of symbol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Symbolic signs, and the limit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did not include In-depth analysis of Indicator signs and Iconic Sig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con of the microwave operation un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user's recognition of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Representamen and the object, which was found to be a psychological concept influenced by the user's experience and social learning.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a universal and intuitive design is required as the same icon is highly likely to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cultural differences. In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ning transmission method of the microwave operation unit icon and the user experience and suggested the necessity of a standard graphic study considering cultural diversity.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review the direction of standardization of the global home appliance UI design based on the extracted semantic analysis data.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8&idx=2761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