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환 경제를 위한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 디자인 연구 -대형 3D 프린팅 활용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 경제의 개념을 접목하여 첨단기술로서의 대형 FDM 방식의 3D 프린팅을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나아가 순환 경제를 위한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으로서 대형 3D 프린팅 패션의 상용화를 위한 후속연구의 발전적 토대를 도모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연구는 전문 서적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순환 경제와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고찰하고, FDM 방식의 대형 3D 프린팅에 대해 문헌연구와 사례 분석, 실증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로는 3D 프린팅이 대중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기초조형학연구, 26(1) pp. 137 - 153
Main Authors 신한나, 이승익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기초조형학회 01.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순환 경제의 개념을 접목하여 첨단기술로서의 대형 FDM 방식의 3D 프린팅을 패션 디자인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나아가 순환 경제를 위한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으로서 대형 3D 프린팅 패션의 상용화를 위한 후속연구의 발전적 토대를 도모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연구는 전문 서적 및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순환 경제와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서 고찰하고, FDM 방식의 대형 3D 프린팅에 대해 문헌연구와 사례 분석, 실증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로는 3D 프린팅이 대중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2009년 S/S 시즌부터 2024년 F/W 시즌까지의 65개의 패션디자인 사례로 한정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과 순환 경제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 고찰해 봄으로써 패션 테크놀로지제이션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파악하였다. 둘째, 패션 산업에서의 3D 프린팅 기술의 활용 현황을 최근 다양한 산업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는 대형 3D 프린팅으로 한정하여 살펴봄에 따라 새로운 패션 시장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수 있었다. 셋째, 생분해성 필라멘트에 대한 현황 분석을 통해 순환 경제를 위한 대형 3D 프린팅 패션 실증 연구에 필요한 소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실증 연구를 위한 기획, 생산 단계에서는 3D 프린팅 기술 사용을 통해 불필요한 원단 사용과 샘플 제작 비용과 소요 시간을 절감할 수 있었으며, 소비단계에서는 생분해성 필라멘트 사용으로 생분해를 통해 순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대형 출력이 가능한 3D 프린터의 필라멘트 종류 제한, 생분해도 측정의 까다로운 실험 조건, 다양한 필라멘트의 물성과 생분해성 비교 분석 부족으로 인한 실용화 제약이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기술이 패션과 접목하여 순환 경제를 위한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초석 연구로서 다양한 생분해성 소재의 개발과 대형 3D 프린팅 기술의 발전을 통해 현재의 한계점을 개선하여 새로운 패션 산업 분야로서의 활성화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apply large-scale FDM 3D printing, a latest technology, to fashion design for circular economy. Furthermore, the purpose is to lay a foundation for further research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large-scale 3D printed fashion as fashion technology for the circular econom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and empirical research, the study examines the concepts and types of circular economy and fashion technology and examines FDM-type large-scale 3D printing. The scope of the study is limited to 65 fashion design cases from the 2009 S/S season to the 2024 F/W seas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the concepts and methods of fashion technology and the circular economy,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fashion technology research were identified. Second, by examining the status of the use of 3D printing technology in the fashion industry, limited to large-scale 3D printing, which has recently been actively attempted in various industries, the possibility of a new fashion market was explored. Third, through an analysis of the status of biodegradable filament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materials needed for empirical research. Fourth, in the planning and production stages for empirical research, the use of 3D printing technology was able to reduce unnecessary fabric use and sample production costs and time, and in the consumption stage, the use of biodegradable filament promoted a circular economy through biodegrad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limited types of filaments available for large-scale 3D printers, the challenging experimental conditions for measuring biodegradability, and the lack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terial properties and biodegradability of various filaments, which restricts practical application. This study is a cornerstone study that combines technology with fashion to present an alterna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for the circular economy. We look forward to revitalization as a new fashion field by improving current limita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biodegradable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3D printing technolog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88&idx=2774
ISSN:1598-8635
2713-5993
DOI:10.47294/KSBDA.26.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