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 기록화 기반 가상현실 콘텐츠 개발과 능동형 NPC 가이드 활용

기존 문화유산 가상현실 콘텐츠는 컨트롤러 기반 인터랙션과 수동적인 정보 제공 방식으로 인해 사용성이 제한적이며, 몰입도와 학습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궁중 기록화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하고, 고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콘텐츠 시나리오와 학습 요소를 기획하여 VR 콘텐츠에 능동형 가이드 NPC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행위와 콘텐츠 진행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동형 가이드 NPC의 유형과 역할 및 디자인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원활한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실험은 제안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1) pp. 23 - 33
Main Authors 권승준, 유정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1.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2009
2287-738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기존 문화유산 가상현실 콘텐츠는 컨트롤러 기반 인터랙션과 수동적인 정보 제공 방식으로 인해 사용성이 제한적이며, 몰입도와 학습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궁중 기록화를 입체적으로 재구성하고, 고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콘텐츠 시나리오와 학습 요소를 기획하여 VR 콘텐츠에 능동형 가이드 NPC를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행위와 콘텐츠 진행에 따라 적절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동형 가이드 NPC의 유형과 역할 및 디자인을 설계하고 이를 적용하여 원활한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실험은 제안하는 능동형 가이드 NPC기반 콘텐츠와 기존 궁중 기록화 콘텐츠에서 사용되는 수동적 안내 방식의 콘텐츠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몰입도, 사용성, 학습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제안하는 콘텐츠가 모든 평가항목에서 비교 콘텐츠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virtual reality (VR) content often relies on controller-based interactions and passive information delivery methods, which can limit usability and reduce immersion and learning effectiv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nhance VR content by incorporating an active guide non-player character (NPC) into a restructured and historically verified scenario of royal court record paintings. The active guide NPC is designed to dynamically provide appropriate information based on user actions and the progression of the content. We developed types, roles, and designs for NPC to ensure a seamless experience. A comparative experiment was conducted between the proposed content featuring the active guide NPC and existing content employing passive guidance methods used in VR royal court record painting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content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mparative content in all evaluated aspects, including immersion, usability, and learning effectivenes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2009
2287-738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