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AI 발전에 따른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 변화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연구: 델파이 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콘텐츠 창작, AI, 메타버스, 법률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친 델파이 분석을 통해 생성 AI 기술 발전이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 AI가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에 가져올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델파이 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여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1차 개방형 질문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2차와 3차 조사에서 구조화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에서 생성 AI의...
Saved in: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6(1) pp. 89 - 101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1.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009 2287-738X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콘텐츠 창작, AI, 메타버스, 법률 분야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례에 걸친 델파이 분석을 통해 생성 AI 기술 발전이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 AI가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에 가져올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에 델파이 분석을 연구 방법으로 활용하여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1차 개방형 질문을 통해 도출된 키워드를 바탕으로 2차와 3차 조사에서 구조화된 설문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향후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에서 생성 AI의 영향력이 강화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하드웨어 개선, 법적 프레임워크 구축, AI 생성물의 자동 식별 시스템 도입 등이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주요 과제로 도출되었다. 법제 개혁, 경제적 인센티브, 창작 도구 개선, 커뮤니티 활성화와 같은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하고 혁신적인 메타버스 창작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생성 AI 활용에 필요한 다각적인 통찰과 방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advancements in generative AI on the metaverse creation ecosystem through three rounds of Delphi analysis involving experts in content creation, AI, the metaverse, and law. The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nges generative AI may bring and propose strategies for activation. Expert opinions were gathered through structured surveys based on keywords from the first round of open-ended questions. Findings suggest that generative AI's influence will continue to grow, emphasizing key tasks such as hardware improvements, legal framework development, and AI-generated content identification systems. Proposed strategies include legal reforms, economic incentives, enhanced creative tools, and community activatio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and guidance for the effective and sustainable use of generative AI in building an innovative metaverse creation ecosystem.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009 2287-738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