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층의 활력무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정감을 통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위한 새로운 체조인 활력무를 소개하며, 활력무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정감을 통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 배경: 활력무는 리듬에 맞춰 몸에 자율진동을 일으켜 활력을 충전시키는 율동으로, 일종의 유산소 운동이다. 이는 중장년층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개선에도 의미 있는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활력무라는 특정 신체활동에 초...
Saved in:
Published in | 인문사회과학연구, 32(4) pp. 787 - 80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11.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2.4.202411.033 |
Cover
Summary: |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위한 새로운 체조인 활력무를 소개하며, 활력무 활동 참여가 심리적 안정감을 통해 삶의 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연구 배경: 활력무는 리듬에 맞춰 몸에 자율진동을 일으켜 활력을 충전시키는 율동으로, 일종의 유산소 운동이다. 이는 중장년층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궁극적으로 삶의 질 개선에도 의미 있는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활력무라는 특정 신체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중장년층의 활동 참여와 심리적 안정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들이 운동의 신체적·정신적 효과를 다룬 반면, 본 연구는 심리적 안정감이 운동 활동 참여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매개 변수로 작용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활동 참여의 성격에 따라 운동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화되었다.
·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활력무 활동 참여가 삶의 질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024년 4월 21일부터 5월 8일까지 148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35명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은 STATA 16을 이용해 수행되었으며, 첫째, 측정항목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하였다. 둘째,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활력무 활동 참여가 삶의 질과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및 단순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정감의 매개효과는 Baron & Kenny(1986)의 방법을 이용해 검정하였다.
· 연구결과: 건강지향적, 가정지향적, 사교지향적 활력무 활동 참여가 중장년층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함을 나타냈다. 또한, 취미오락지향적, 가정지향적, 자기개발적 동기로 활력무에 활동 참여할 때 심리적 안정감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이 드러났다. 특히, 심리적 안정감은 가정지향적 활력무 활동 참여가 삶의 질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여, 가정지향적 동기로 활력무에 활동 참여할 경우 심리적 안정감이 더 크게 작용해 삶의 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정책적·실용적 기대효과로는, 중장년층을 위한 맞춤형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활력무의 정부 및 지역사회 건강 증진 프로그램으로의 도입 가능성, 그리고 중장년층의 정신 및 신체 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제시되었다. 후속 연구와 실무적 적용에서 활력무의 다양한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Topic: This study introduced a new gymnastics for the middle-aged, vital dance, and empirically analyzed how participation in vital dance activitie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sychological stability.
· Research Background: Vitality dance is a kind of aerobic exercise that charges vitality by vibrating autonomously in the body according to the rhythm. This study revealed that it positively affects the physical health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and ultimately has a meaningful effect o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activity particip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on quality of life, focusing on a specific physical activity called vitality. While previous studies dealt with exercise's physical and mental effects, this study found that psychological stability can act as a parame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tion in exercise activities and quality of life. Through this, it was differentiat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e effect of exercise may vary depending on the nature of participation in activities.
· Research metho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vital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middle-age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do. It was conducted on 148 people from April 21 to May 8, 2024. Excluding unfaithful responses, the questionnaire of 135 people was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TATA 16, and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us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Second,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samp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ird,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vital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was analyzed using multipl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tability was tested using the method of Baron & Kenny (1986).
·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in health-oriented, home-oriented, and social-oriented vitality activitie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middle-aged.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participating in vitality activities with hobby-oriented, home-oriented, and self-development motives helps to improve psychological stability.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when participating in vitality activities with family-oriented vitality activitie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by participating in vitality activities with family-oriented motivation.
· Contributions and expected effects: Policy and practical expected effects include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physical activity programs for the middle-age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m into government and community health promotion programs, and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manage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middle-aged in an integrated manner. Various possibilities of vitalism are expected to be evaluated in follow-up studi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3144 |
ISSN: | 2288-8861 2671-5376 |
DOI: | 10.22924/jhss.32.4.202411.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