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축구 동아리로의 재사회화 과정 탐색 : 중도탈락한 대학 축구선수의 사례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축구선수들이 중도탈락 이후에 대학 축구 동아리로 재사회화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를 차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법을 통해 선정했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수집했고 다원화와 구성원 검토, 동료협의 등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연구의 모든 과정은 IRB심의를 승인받은 이후에 진행했다. [결과] 첫째, 스포츠 재사회화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에 대해 탐색했고 인간관계, 학업, 감정 문제로 나타났다. 둘째,...
Saved in:
Published in | Ch'eyuk kwahak yŏn'gu pp. 537 - 547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01.09.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2920 2233-7938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축구선수들이 중도탈락 이후에 대학 축구 동아리로 재사회화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를 차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법을 통해 선정했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수집했고 다원화와 구성원 검토, 동료협의 등을 통해 자료의 진실성을 입증하고자 했다.
연구의 모든 과정은 IRB심의를 승인받은 이후에 진행했다.
[결과] 첫째, 스포츠 재사회화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이 겪은 어려움에 대해 탐색했고 인간관계, 학업, 감정 문제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재사회화 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대학생활에 대한 의지와 노력, 대학 내 사회화 주관자의 도움그리고 중도탈락 이후 신속한 재사회화다. 셋째, 대학 축구 동아리에서의 경험은 진입장벽이 없는 선수출신, 상호보완적 관계를 통한 학업 달성, 학생선수에게 익숙한 위계문화, 인간관계와 소속감에 대한 갈증 해소로 도출했다[결론] 본 연구는 대학 운동선수들이 대학 스포츠 동아리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의 필요성을 촉진하며, 이를 통해 중도탈락하는 대학 운동선수들의 성공적인 재사회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ocialization process of college soccer players who rejoin college soccer clubs after dropping out. METHODS A case study approach was employed, and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literature reviews. The authenticity of the data was validated through triangulation, member checking, and peer debriefing. All research procedures were conducted follow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RESULTS The study revealed several key findings. First, participants faced numerous challenges during the re-socialization process into sports, including interpersonal, academic, and emotional difficulties. Secon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e-socialization process emerged, including the determination and effort required for adapting to university life, support from socialization agents within the university, and rapid re-socialization following dropout. Third, experiences within collegiate soccer clubs indicated low barriers to entry for former athletes, academic success through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 hierarchical culture familiar to student-athletes, and enhanced satisfac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 sense of belonging. CONCLUSIONS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institutional support that enables college athletes to participate in sports clubs, facilitating the successful re-socialization of athletes who have dropped out.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2920 2233-79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