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반정부시위에 관한 서방과 러시아 언론의 보도 경향 분석
이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서방과 러시아 언론의 ‘러시아 반정부시위’ 보도 경향을 비교․분석했다. 총 4,812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키워드 및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양 언론의 핵심어와 주요 의제를 도출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의 변화를 확인했다. 서방 언론에서 ‘선거’, ‘거리’, ‘사람들’, ‘지지’ 등 시민사회 관련 단어가 핵심어로 나타났고, 나발니 관련 의제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반면 러시아 언론은 ‘외무부’, ‘미국’, ‘나토’, ‘대사관’, ‘자하로바’ 등 안보와 관련된 단어를 주로...
Saved in:
Published in | 중소연구, 48(2) pp. 113 - 16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아태지역연구센터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012-3563 2508-5425 |
Cover
Summary: | 이 연구는 2020년 1월 1일부터 2024년 3월 31일까지 서방과 러시아 언론의 ‘러시아 반정부시위’ 보도 경향을 비교․분석했다. 총 4,812건의 기사를 대상으로 키워드 및 토픽모델링 분석을 통해 양 언론의 핵심어와 주요 의제를 도출했으며,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의 변화를 확인했다. 서방 언론에서 ‘선거’, ‘거리’, ‘사람들’, ‘지지’ 등 시민사회 관련 단어가 핵심어로 나타났고, 나발니 관련 의제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반면 러시아 언론은 ‘외무부’, ‘미국’, ‘나토’, ‘대사관’, ‘자하로바’ 등 안보와 관련된 단어를 주로 사용했고, 구소련 지역 시위와 관련한 의제에 주목했다. 사회․정치적 배경을 바탕으로 서방 언론은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 ‘나발니 서사’를 동원해 러시아의 반정부 활동가를 ‘희생자’로 조명하고 러시아 정부를 겨냥하며 서방의 국가적 가치와 정체성을 전달했다. 러시아 언론은 ‘공포 정치’를 통해 시민 활동을 통제하고, 정부의 주요 의제를 전하는 데 주력했다. 이 연구는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동원해 서방과 러시아 언론 보도의 경향을 구체화했으며, 사회․정치적 맥락을 반영하여 각 언론의 보도 특성을 논의했다. 이는 국제 보도 동향과 언론의 역할에 관한 학술적 논의를 유도할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reporting trends of Western and Russian media on “Russian anti-government protests” from January 1, 2020, to March 31, 2024. By examining 4,812 articles through keyword and topic modeling analysis, the study identifies the key terms and major agendas of both media spheres and observes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Ukraine war. Western media predominantly used terms related to civil society, such as ‘elect,’ ‘street,’ ‘people,’ and ‘support,’ with a particular focus on issues related to Navalny. In contrast, Russian media primarily used terms related to security, such as ‘Foreign Ministry,’ ‘United States,’ ‘NATO,’ ‘embassy,’ and ‘Zakharova,’ and concentrated on protests in former Soviet regions.
Regarding the socio-political background of these reporting trends, Western media attempted to highlight Russian anti-government activists as ‘victims’ through the ‘Navalny narrative,’ conveying Western national values and identity. Russian media, on the other hand, focused on controlling civic activities under ‘politics of fear’ and on conveying the government's main agenda. This study concretizes the key terms and agendas of Western and Russian media through big data analysis. It organizes the reporting characteristics of each media in consideration of the socio-political context. It contributes to scholarly discussions on international reporting trends and the role of the media.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012-3563 2508-5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