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종교철학에서 근본악과 최고선의 문제 -칸트의 <종교론>ㅡ1논고-를 중심으로ㅡ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종교론>에서 제시된 근본악 이론을 희망철학적으로해석하는 것이다. 근본악 이론을 희망철학적으로 해석할 때, 우리가 얻을 수 있는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종교론>은 <실천이성비판>의 기본적인 문법들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또한, 근본악 이론이 사실 <실천이성비판>에서제시된 도덕성과 행복의 결합이라는 최고선의 문제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나는 <종교론>의 근본악 이론이 사실상 최고선 개념의 종교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칸트연구, 0(53) pp. 69 - 113
Main Author 정제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칸트학회 01.06.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9372
2734-0511
DOI10.32333/KS.53.1.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종교론>에서 제시된 근본악 이론을 희망철학적으로해석하는 것이다. 근본악 이론을 희망철학적으로 해석할 때, 우리가 얻을 수 있는이점은 다음과 같다: (1) <종교론>은 <실천이성비판>의 기본적인 문법들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 또한, 근본악 이론이 사실 <실천이성비판>에서제시된 도덕성과 행복의 결합이라는 최고선의 문제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점에서 나는 <종교론>의 근본악 이론이 사실상 최고선 개념의 종교철학적 변형일 뿐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우리가 근본악에 대한 희망철학적해석에 동의한다면, 이는 도덕적-개인적 차원에서 제시되는 최고선 개념과, 사회적-공동체적 차원에서 제시되는 최고선 개념 사이에 놓여 있는 거대한 개념적 간극을 메워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interpret Kant’s theory of radical evi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hilosophy of hope. When the theory of radical evil is interpreted in this manner, the benefits are as follows: (1) it shows that Religion does not conflict with Kant’s ethical system, especially the the system of the Critique of Practical Reason, but rather inherits the basic grammar of the Second Critique. (2) Furthermore, the theory of radical evil actually repeats the problem of the highest good, the union of morality and happiness, presented in the Second Critique. In this respect, I argue that the theory of radical evil in the Religion is in fact a religious-philosophical variant of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Additionally, if we agree with the interpretation of radical evil in line with the philosophy of hope, it can bridge the huge conceptual gap between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at the moral-individual level and at the social-communal level. KCI Citation Count: 1
ISSN:1598-9372
2734-0511
DOI:10.32333/KS.5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