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시민의 통근 시간 가치 평가: 이산 선택 모형과 삶의 만족도 모형을 중심으로

통근 시간의 가치(VOCT)를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변동성을 조사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동일한 연구지역에 적용된 다른 평가 기법을 사용한 VOCT 측정의 신뢰도를 조사하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이산 선택 모형(DCM)과 삶의 만족도 모형(LSM)으로 측정된 VOCT의 신뢰도와 가변성을 조사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실증적 결과를 제공한다. 두 모형의 평균 시간당 VOCT는 평가 방법에 따라 $22.31과 $26.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12) pp. 800 - 814
Main Authors 이지현, 윤미영, 전명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12.80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통근 시간의 가치(VOCT)를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변동성을 조사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지만 동일한 연구지역에 적용된 다른 평가 기법을 사용한 VOCT 측정의 신뢰도를 조사하는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이산 선택 모형(DCM)과 삶의 만족도 모형(LSM)으로 측정된 VOCT의 신뢰도와 가변성을 조사함으로써 해당 분야의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주목할 만한 실증적 결과를 제공한다. 두 모형의 평균 시간당 VOCT는 평가 방법에 따라 $22.31과 $26.15로 매우 유사했으며, 두 평가 방법 모두 정책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삶의 만족도 모형을 활용한 고소득 근로자의 VOCT는 이산 선택 모형을 활용한 VOCT보다 상당히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고소득 근로자가 통근 비용의 금전적인 가치보다는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에 더 민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Although a large volume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mpirically evaluate the value of commuting time (VOCT) and investigate its variabilit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xamining the confidence of VOCT measures using different valuation techniques applied to the same study area.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confidence and variability of VOCTs measured by the discrete choice model (DCM) and life satisfaction model (LSM), using Seoul as the case study area. This study provides several notable empirical findings. The average hourly VOCTs from the two approaches were remarkably similar, ranging from $22.31 to $26.15, depending on the model type, implying that VOCT estimates from either method can be used for policy evaluation. However, VOCTs from the LSM were substantially higher than those from the DCM for high-income workers, indicating that high-income commuters are more sensitive to subjective well-being than to the monetary cost of commuting.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12.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