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노인 및 경도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에서의 한국인 뇌 구조영상 표준판 개발
Purpose : To generate a Korean specific brain templat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by optimizing the voxel-based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Three-dimensional T1-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from 123 subjects who were 43 cognitively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Saved in:
Published in | Taehan Chagi Kongmyŏng Ŭikwa Hakhoe chi Vol. 14; no. 2; pp. 103 - 114 |
---|---|
Main Authors | ,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201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9751 2288-3800 |
Cover
Summary: | Purpose : To generate a Korean specific brain template, especially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AD) by optimizing the voxel-based analysis. Materials and Methods : Three-dimensional T1-weighted images were obtained from 123 subjects who were 43 cognitively normal subjects and patients with 44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36 AD. The template and the corresponding aprior maps were created by using the matched pairs approach with considering differences of age, gender and differential diagnosis (DDX). We measured several characteristics in both our and the MNI templates, including in the ventricle size. Also, the fractions of gray matter and white matter voxels normalized by the total intracranial were evaluated. Results : The high resolution template and the corresponding aprior maps of gray matter, white matter (WM) and CSF were created with the voxel-size of $1{\times}1{\times}1\;mm$. Mean distance measures and the ventricle sizes differed between two templates. Our brain template had less gray matter and white matter areas than the MNI template. There were volume differences more in gray matter than in white matter. Conclusion : Gray matter and/or white matter integrity studies in populations of Korean elderly and patients with AD are needed to investigate with this template. 목적 :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치매연구에서 삼차원 T1강조 뇌 구조 영상으로 뇌기능을 분석할 경우 복셀 기반 형태분석 방법이 이용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The Montreal Neurological Institute (MNI) 152 라는 젊은 서양성인 뇌로 만들어진 표준판에 정규화되고 이는 분석오차가 생길 수 있어 한국 노인 및 치매환자의 뇌를 분석할 경우 부정확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뇌 분석을 최적화 하기 위해 한국 노인 및 치매 환자의 뇌 구조 영상의 표준판을 개발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 검사장비는 3테슬러를 이용하였으며 8채널 SENSE (sensitivity encoding) 머리코일을 이용하였다. 펄스열은 삼차원 T1 강조 터보 경사자장 타입으로 뇌의 해부학 영상을 획득하였다. 신경심리 검사 점수결과에 따라 정상 노인 43명, 경도인지장애 환자 44명,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 36명 의 세 그룹으로 나누었다. 일반 선형 모델 방정식을 사용하여 나이와 성별 및 질환간의 차이에 의한 인자를 고려 하였으며, 평가된 인자는 쌍일치 접근 방법으로 한국 노인과 치매 환자의 뇌 표준판을 만들었다. 두 표준판의 Talairach 기준 점에 따른 평균거리와 뇌실의 거리를 계산하였다. 또한 뇌 전체 영역에서 회백질과 백질을 확률이 50% 이상인 복셀 개수를 세어 회백질과 백질의 영역을 계산하였다. 결과 : 최종 뇌 표준판은 MNI152뇌 표준판과 비교했을 경우 공간 분해능이 높았고, 평균거리와 뇌실의 크기에서 차이가 있었다. 회백질 및 백질의 영역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뇌 표준판의 회백질과 백질 모두에서 더 적었고, 백질보다 회백질에서 더 많은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뇌 표준판은 앞으로 한국 노인과 치매환자의 질환을 분석하는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
Bibliography: | KISTI1.1003/JNL.JAKO201016450104081 |
ISSN: | 1226-9751 2288-38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