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연을 모티브로 활용한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

연구배경 전통 연은 우리 고유의 놀이문화이자 민속 신앙을 반영한 문화유산이며, 기하학적 형태 안에 장식된 색과 문양은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 디자인적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연의 형태를 활용한 기본 모티브와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전통 연의 구조와 종류에 관한 문헌 고찰과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또 전통 연의 인식과 기본 모티브 선호도, 선호하는 색과 톤, 적용 아이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고, 개발한 패턴디자인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디자인포럼 Vol. 81; pp. 63 - 74
Main Authors 김선영, Kim Sun You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5.11.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20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전통 연은 우리 고유의 놀이문화이자 민속 신앙을 반영한 문화유산이며, 기하학적 형태 안에 장식된 색과 문양은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 디자인적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 연의 형태를 활용한 기본 모티브와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을 개발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에 적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전통 연의 구조와 종류에 관한 문헌 고찰과 텍스타일 패턴디자인 개발의 실증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또 전통 연의 인식과 기본 모티브 선호도, 선호하는 색과 톤, 적용 아이템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여 기초자료로 활용하였고, 개발한 패턴디자인의 선호도와 연상되는 이미지, 구매 의사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기본 모티브 디자인은 방패연과 가오리연 형태를 활용하여 총 12개 디자인을 개발하였으며, 텍스타일 패턴디자인은 모티브별로 두 가지 시안으로 확장하여 총 24개의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패턴디자인은 선호하는 아이템으로 조사된 손수건, 스카프, 에코백에 적용하여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고, 이 중 14점은 실제 상품으로 제작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전통 연의 디자인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한국 고유의 민속문화 기반의 창의적 재해석과 관련 문화상품이 다채롭게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Traditional kites are a cultural heritage that reflects our unique play culture and folk beliefs, and the colors and patterns decorated within the geometric shapes represent each characteristic and have design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asic motifs and textile pattern designs using the shape of traditional kites and apply them to various cultural product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n the structure and types of traditional kites and empirical research on textile pattern design development.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kites, preferences for basic motifs, preferred colors and tones, and applied items, and was used as basic data. In addition, preferences for the developed pattern design, images associated with it, purchase intention, etc. were surveyed. Result A total of 12 designs were developed using the shield kite and stingray kite shapes for the basic motif design, and the textile pattern design was expanded to two designs for each motif, resulting in a total of 24 designs. The developed pattern design was applied to handkerchiefs, scarves, and eco-bags, which were surveyed as preferred items, to suggest usability, and 14 of these were produced as actual product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design value and usability of traditional kites.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creative reinterpretations and related cultural products based on Korea's unique folk culture.
Bibliography:Korea Society of Design Trend
ISSN:2233-9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