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행성 관절염이 동반된 고령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 불유합의 구제술로 이용된 슬관절 전치환술
목적: 대퇴골 원위부 골절 불유합의 구제술로 이용된 슬관절 전치환술의 유용성에 대해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대퇴골 원위부 골절 불유합에 대해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구제술을 시행한 1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31.9개월(12∼90)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70.3세(60∼75)였다. 골절은 9예에서 과상부 골절이었으며, 1예는 대퇴골 원위부 골절이었다. 6예에서는 해부학적 금속판을, 3예에서는 역동적 과나사못을, 1예에서는 역행성 골수강내 고정술을 이용하여...
Saved in:
Published in | Knee surgery & related research Vol. 20; no. 1; pp. 65 - 70 |
---|---|
Main Authors | , , , , ,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슬관절학회
30.06.200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234-0726 |
Cover
Summary: | 목적: 대퇴골 원위부 골절 불유합의 구제술로 이용된 슬관절 전치환술의 유용성에 대해서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8월부터 2007년 3월까지 대퇴골 원위부 골절 불유합에 대해서 슬관절 전치환술을 이용하여 구제술을 시행한 10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31.9개월(12∼90)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70.3세(60∼75)였다. 골절은 9예에서 과상부 골절이었으며, 1예는 대퇴골 원위부 골절이었다. 6예에서는 해부학적 금속판을, 3예에서는 역동적 과나사못을, 1예에서는 역행성 골수강내 고정술을 이용하여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재수술 전에 모든 환자의 슬관절에서 중등도 이상의 골관절염이 존재하였다. 사용한 인공 관절 기구로는 7예가 Legacy(R) Knee-Constraried Condylar (Zimmer), 3예가 E-motion(R) (B-Braun)이었다. 추시 중 임상적 평가는 Knee Society Knee Score (KSS)를 이용하였고, 방사선학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절 부위에 다시 불유합이 발생되어 재수술을 시행한 환자는 한 예도 없었으며, 10° 이상의 부정정열을 보인 경우도 없었다. KSS 슬관절 점수는 평균 술 전 23점(범위 10∼31)에서 81점(범위 68∼89)으로 호전되었고, 최종 추시 시에 시행한 평균 관절 운동은 신전은 3° (0∼10°)였고, 굴곡은 105° (90∼130°)였다. 한 환자에서 창상 피부 괴사가 보였으나 보존적 치료로 해결되었다. 결론: 슬관절의 골관절염과 동반된 대퇴골 원위부 골절 불유합의 구제술로 이용된 슬관절 전치환술은 유용한 수술적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valuate performing total knee arthroplasty for the salvage treatment of nonunion of the distal femoral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October 2000 to March 2007, 10 patients were treated with total knee arthroplasty for salvage of nonunion of distal femoral fracture.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70.3 years (range: 60 to 75).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31.9 months (range: 12 to 90). The original fracture site was the supracondylar area in 9 cases and it was distal to the supracondylar area in 1 case. 6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an anatomical plate, 3 with a Dynamic Condylar Screw and 1 with retrograde nailing. The radiograghs before knee arthroplasty demonstrated degenerative changes in the knee joint in all patients. The following total knee components were used: 7 Legacy Knee-Constrained Condylar (Zimmer) and 3 E-motion (B-Braun). The clinical assessments consisted of radiologic evaluation and the Knee Society knee Score (KSS). Results: There was no malalignment >10° in any plane for the revision operation that was due to nonunion. The mean KSS knee score improved from 23 (range: 10∼31) preoperatively to 81 (range: 68∼89) postoperatively. The mean knee range of motion at the latest follow-up was 3° (range: 0∼10°) to 105° (range: 90∼130°). One patient required nonoperative wound care for marginal wound skin necrosis. Conclusion: We recommend this treatment modality for nonunion of the distal femoral fracture with coexisting gonarthrosis. |
---|---|
Bibliography: | Korean Knee Society |
ISSN: | 2234-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