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충기
밸브 시트 부재(106)가 캡부재(101) 내에 설치된다. 제1 서브 밸브(181)는 타측실(20)에 설치된다. 제2 서브 밸브(171)는 캡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밸브 시트 부재(106) 사이의 캡실(146) 내에 설치된다. 제2 통로(182)에는, 제1 서브 밸브(181)가 개방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175)가 배치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 큰 속도 영역에서는,...
        Saved in:
      
    
          | Main Author | |
|---|---|
| Format | Patent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16.06.2021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 Summary: | 밸브 시트 부재(106)가 캡부재(101) 내에 설치된다. 제1 서브 밸브(181)는 타측실(20)에 설치된다. 제2 서브 밸브(171)는 캡부재(101)의 바닥부(122)와 밸브 시트 부재(106) 사이의 캡실(146) 내에 설치된다. 제2 통로(182)에는, 제1 서브 밸브(181)가 개방하는 흐름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오리피스(175)가 배치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인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는 밸브 폐쇄된 상태에서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밸브 개방된다. 피스톤 속도가 저속보다 큰 속도 영역에서는, 제1 감쇠력 발생 기구(41) 및 제2 감쇠력 발생 기구(183)가 모두 밸브 개방된다.
A valve seat member is provided in a cap member. A first sub valve is provided in another side chamber. A second sub valve is provided in a cap chamber formed between a bottom portion of the cap member and the valve seat member. In a second passage, an orifice is disposed on an upstream side or a downstream side from the first sub valve in flow by which the first sub valve is opened. In a region in which a piston speed is low, a valve of a second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a valve of a first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is closed. In a speed region in which the piston speed is higher than in another region, the valve of the first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and the valve of the second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are both opened. | 
|---|---|
| Bibliography: | Application Number: KR202170144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