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ffecting Factors for Dietary, Exercise and Behavioral Modification of Women on Diet Improvement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Improve the Quality of Life

목적: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 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22년 5월,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8곳의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 318부 중 미회수분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7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PASW Statistics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9.0과 AMOS 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 21; no. 1; pp. 29 - 40
Main Author 오유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1.03.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여성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이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다이 어트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022년 5월, 프랜차이즈 체형관리실 8곳의 비만 여성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설문지 318부 중 미회수분과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275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PASW Statistics b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19.0과 AMO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대상 자의 일반적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들을 요인의 차원으로 도출하기 위해 베리맥스 회전을 통한 요인분 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신뢰도 계수 (Cronbach's α) 계산을 위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해당 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분 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RMSEA, RMR, GFI, NFI, TLI, CFI값을 통해 모형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이후 연구문 제의 확인과정을 위해 구조모형 분석을 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에 대한 소벨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소벨검증결과 인식 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3.017 (p<0.05), 태도는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2.691 (p<0.05), 실천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0.997 (p<0.05), 지속성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 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1.607 (p<0.001), 효과성은 삶의 질 개선을 매개로 한 다이어트 개선의 검증 값이 0.961 (p<0.001) 로 모든 항목에서 삶의 질 개선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론: 비만자들의 식생활, 운동, 행동수정과 관련한 현 황 및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들이 정해진 생활수칙들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통해 보완해야 한다.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과 지속적인 다이어트 개선을 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을 할 수 있도록 정부, 민간, 학교, 지자체 등의 관심노과력 이 요구된다.
ISSN:2466-2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