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뜸부기(Porzana paykullii)의 관찰기록 연구
한국뜸부기는 국제적 준취약종(near threatened)이자 환경부지정 특정종이다. 본 연구는 2005 년 5월 27일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37° 14' 28.46" N, 131° 51' 46.20")에서 사망한 상태로 관찰된 한국뜸부기(Porzana paykullii)를 바탕으로 이전 관찰기록과 비교하여 이들의 이동경로를 추정함으로써 추후 생태 연구와 보호종 선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직생태연구가 부족한 한국뜸부기의 국내 관찰기록은 1910년 5월 20일 경기도에...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조류학회지 Vol. 14; no. 2; pp. 135 - 14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조류학회
2007
한국조류학회II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9179 2586-6893 |
Cover
Summary: | 한국뜸부기는 국제적 준취약종(near threatened)이자 환경부지정 특정종이다. 본 연구는 2005 년 5월 27일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37° 14' 28.46" N, 131° 51' 46.20")에서 사망한 상태로 관찰된 한국뜸부기(Porzana paykullii)를 바탕으로 이전 관찰기록과 비교하여 이들의 이동경로를 추정함으로써 추후 생태 연구와 보호종 선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아직생태연구가 부족한 한국뜸부기의 국내 관찰기록은 1910년 5월 20일 경기도에서 1개체가 관찰된것을 시작으로 2005년 9월 23일 제주도에서 1개체가 관찰되기까지 총 9회에 걸쳐 12개체였다.
관찰 시기는 춘계 5회, 하계 2회 및 추계 2회 등 모두 번식기와 이동 시기였다. 하계의 2회 관찰기록은 경기북부지역에서의 번식가능성을 암시한다. 지금까지의 관찰기록으로 볼 때, 한국뜸부기는 봄과 가을 이동시기에 제주도 일대의 남부지방을 거쳐 경기 동북부 및 동해 독도인근해역을통과해 번식지로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Band-bellied crakes (Porzana paykullii) are near threatened species (IUCN Red list 2007) and a rare bird in South Korea. The Aim of study was to identify the migration route of band-bellied crakes using historical records of South Korea. Since the first observation of the Band-bellied crake was recorded in 1910, there have been 9 records (10 individuals) made in South Korea by 2004. In 2005, We found one freshly dead crake during the bird survey in Dokdo island (37° 14' 28.46" N, 131° 51' 46.20") on 27th May and one crake was also observed by other researchers in Jeju island on 23rd September. The previous records of Band-bellied crakes for the last 95 years showed that they were more frequently observed in spring (5 times) than summer (2 times) or autumn (2 times) in South Korea. This indicates that Band-bellied crakes mainly visited South Korea during the migration season. Two records of band-bellied crakes during the summer season suggest a possibility of their breeding in South Korea although more detailed surveys are needed for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068.2007.14.2.007 |
ISSN: | 1225-9179 2586-689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