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드 맵 활동이 뇌성마비아동의 읽기와 쓰기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 능력이 2학년 이상 지체된 뇌성마비아동에게 마인드 맵 활동을 통한 중재를 실시하고 대상아동의 읽기와 쓰기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아동별 읽기와 쓰기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으나 읽기의 하위영역인 독해력에서는 세 명의 대상아동이 향상을 나타냈으며, 낱말의 재인에서는 세 명중 두 명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기에서는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마인드 맵 활동이 독해력 향상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마인드 맵 활동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언어치료연구 Vol. 13; no. 1; pp. 89 - 110
Main Authors 이영철(Young-Cheol Lee), 김성리(Sung-Rhee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언어치료학회 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587X
2671-715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읽기와 쓰기 능력이 2학년 이상 지체된 뇌성마비아동에게 마인드 맵 활동을 통한 중재를 실시하고 대상아동의 읽기와 쓰기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아동별 읽기와 쓰기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으나 읽기의 하위영역인 독해력에서는 세 명의 대상아동이 향상을 나타냈으며, 낱말의 재인에서는 세 명중 두 명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쓰기에서는 거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마인드 맵 활동이 독해력 향상과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보다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마인드 맵 활동과 언어향상과의 관계를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effects of mind map activity on reading and writ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volve three fifth grade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ttending at special school, whose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are behind over two grade years than their normal grade level. As result of mind map activity,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ind map activities facilitated read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wo children showed positive effect on word recognition, but one child didn't showed any change. On reading comprehension three children showed positive effect that understood sentence structure, sentence connection and connotation. Second, mind map activities didn't facilitated writing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One child showed a little improvement, the others showed same and decrease effect.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0939.2004.13.1.006
ISSN:1226-587X
2671-7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