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소모형을 이용한 세대 내 수직 샤프트의 배연 가시화 및 배연량 예측을 위한 실험적 연구
공동주택 세대 내에서 화장실과 연결된 수직 샤프트를 통한 배연 가시화와 배연량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성을 고려한 1/6의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축소모형 실험과 식(15)에 의한 결괏값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열관류율을 활용한 유사성 조건으로 제작된 축소모형에 대한 실험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2) 가시화 실험을 통하여 수직 샤프트를 통하여 배연은 확인하였으나, 시간 차이를 두고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실험을...
Saved in:
Published in | 설비공학 논문집, 36(1) Vol. 36; no. 1; pp. 1 - 8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설비공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24.36.1.1 |
Cover
Summary: | 공동주택 세대 내에서 화장실과 연결된 수직 샤프트를 통한 배연 가시화와 배연량 예측하기 위하여 유사성을 고려한 1/6의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1) 축소모형 실험과 식(15)에 의한 결괏값이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열관류율을 활용한 유사성 조건으로 제작된 축소모형에 대한 실험은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2) 가시화 실험을 통하여 수직 샤프트를 통하여 배연은 확인하였으나, 시간 차이를 두고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3) 실험을 통하여 배연량의 80% 이상이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세대 내에서 수직 샤프트는 질식사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4) 본 논문에서 수행한 대상은 부엌은 직접배기이고, 결합시스템을 가진 화장실(단독배기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향후에는 다양한 배기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 1/6 scaled-down model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similarity conditions to visualize the smoke flow through a vertical axis connected to an apartment bathroom and predict the amount of exhaust smoke. The study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ince the results between the scaled model experiment and Eq.(14) were nearly concordant, the similarity condition using thermal transmittance was validated. (2) Although smoke flow was confirmed through the vertical shaft in the visualization experiment, improved methods are needed as it was discharged to the outdoors at a time difference. (3) As more than 80% of the smoke was discharged to the outdoors in the experiments, vertical shafts can be considered sufficient to prevent suffocation in household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journal.auric.kr/kjacr |
ISSN: | 1229-6422 2465-7611 |
DOI: | 10.6110/KJACR.2024.3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