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양 대치물로 인한 피질골 위축의 방사선학적 결과: 성인 환자에 대한 후향적 연구
목적: 종양 대치물 수술 후 피질골 위축의 정도와 수술 부위에 따라 그 발생률이 증가하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양 대치물 스템 위치에서의 피질골 위축의 감소율과 수술 부위에서의 피질골 위축의 발생률을 비교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종양 대치물을 사용한 수술로 악성 골종양 또는 연부조직 육종을 광범위하게 절제한 29명의 환자로부터 45개의 스템(경골 17개, 상완골 3개, 대퇴골 25개)을 후향적으로 검토했다. 각 스템 위치에 따라 전후...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Vol. 59; no. 6; pp. 422 - 43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12.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적: 종양 대치물 수술 후 피질골 위축의 정도와 수술 부위에 따라 그 발생률이 증가하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종양 대치물 스템 위치에서의 피질골 위축의 감소율과 수술 부위에서의 피질골 위축의 발생률을 비교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종양 대치물을 사용한 수술로 악성 골종양 또는 연부조직 육종을 광범위하게 절제한 29명의 환자로부터 45개의 스템(경골 17개, 상완골 3개, 대퇴골 25개)을 후향적으로 검토했다. 각 스템 위치에 따라 전후방과측면의 일반 방사선 사진을 사용하여 약 1년 간격으로 피질골 두께를 측정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5.0세(범위, 21.0–79.0세)였고 환자별 평균 총 추적 기간은 4.1년(범위, 1.3–12.5년)이었다. 19개의 스템(경골 9개, 상완골 2개, 대퇴골 8개)에서 평균 2.24년 이내에 1급 피질골 위축(20%–50% 감소)이 관찰되었으며, 그중 10개는 비시멘트, 9개는 시멘트를 사용하였다. 19개 스템 중 3개에서 2급 피질골 위축(>50% 감소)이 관찰되었으며, 그 중 2개는 평균 3.19 년 이내에 1급 피질골 위축에서 기인하였다. 14개의 스템은 절제 위치보다 1 cm 떨어진 곳에서 피질골 위축을보 였지만 4개, 3개, 2개의 스템은 각각 스템의 정중선, 스템 끝, 시멘트 선의 끝에서 피질골 위축을 보였다. 피질골 위축을 보인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 간의 뼈 길이의 감소 비율은 각각 43.3%와 43.6%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특정 스템 위치에 따라 피질골 위축은 특정 기간에 더 자주 관찰될 수 있다. 그러나 수술 부위, 절제 길이, 또는 시멘트 사용여부와는 무관하였다. 삽입물 실패를 예방하기 위해 피질골 위축을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하며, 종양 대치물 수술의 발전을 위해대규모 다기관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level of cortical atrophy and whether its incidence increases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the reduction ratio of cortical atrophy at each stem level and the incidence rates of cortical atrophy at the surgical site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trospectively reviewed 45 stems (17 on the tibia, three on the humerus, and 25 on the femur) from 29 patients who underwent a wide excision of malignant bone or soft tissue tumors with tumor prosthesis surgery, from January 2008 to January 2023. The cortical thickness was measured using plain radiographs in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views along each stem level, with intervals close to a year.
Results: The mean patient age was 55.0 years (range, 21.0–79.0 years), an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4.1 years (range, 1.3–12.5 years). Grade 1 cortical atrophy (20%–50% reduction) was observed in 19 stems (nine stems on the tibia, two stems on the humerus, and eight stems on the femur), of which 10 were non-cement, and nine were cement within an average of 2.24 years. Grade 2 cortical atrophy (>50% reduction) was observed in three of 19 stems, two of which eventually developed from grade 1 cortical atrophy within an average of 3.19 years. Fourteen stems showed cortical atrophy 1 cm below the resection level. In contrast, four, three, and two stems showed cortical atrophy at the midline level of the stem, the tip of the stem, and the end of the cement line, respectively. The reduction ratios of the bone length between the atrophic and non-atrophic groups were 43.3% and 43.6%, respectively,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Depending on the specific stem level, cortical atrophy can b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a specific period, but it is not observed more frequently according to the resection site, resection length, or use of cemented or non-cemented stems. Care should be taken to monitor cortical atrophy to prevent prosthetic failure, and the expansion of tumor prosthesis surgery should be achieved through a large multicenter prospective study to gain additional insight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