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STEAM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의해 개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J도 H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8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2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3) Vol. 23; no. 3; pp. 672 - 687
Main Author 이수기(Suki Lee)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3.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03.6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STEAM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교수적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STEAM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유아교사를 위한 STEAM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은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ADDIE 교수설계 모형에 의해 개발하였다.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J도 H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38명(실험집단 18명, 통제집단 2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5주 동안 15회기의 교사교육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전체 유아교사의 융합인재소양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유아교사는 전체 과학교수효능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실험집단의 유아교사는 전체 과학교수적극성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실험집단의 STEAM에 대한 관심단계는 '무관심' 단계에서 감소하였고, '정보적', '개인적', '결과적', '협력적' 단계에서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사후 검사에서 전형적인 ‘비사용자(nonuser)’의 패턴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TEAM이 유아교육현장에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STEAM 전문성이 향상되도록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early childhood teachers' STEAM professionalism and to apply it to find out the effect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STEAM literacy,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And, it is to find out what kind of change there is in the stage of concer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STEAM.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TEAM professionalism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by referring to literature studies and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ere 38 early childhood teachers(experimental group: 18, control group: 20)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H-gun, J-d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5 teacher education sessions for 5 wee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overall STEAM literacy.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overall science teaching efficacy. Third,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overall science teaching intention. Fourth, the experimental group's stage of concern in STEAM decreased in the ‘unconcern’ stage and increased in the ‘information’, ‘personal’, ‘consequence’, and ‘collaboration’ stages. And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showed a typical ‘nonuser’ pattern in the pre and post-tes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for STEAM to be activa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arious teacher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ly implemented to improve the STEAM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CI Citation Count: 4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03.6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