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대상의 예비부모교육 교양강좌 효과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교양강좌를 개발해 실시한 후, 미래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 성인 양육자로서의 태도,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인식을 평가해 강좌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대학교 두 곳의 대학생 총 130명이다. 이들 중 실험집단은 서울의 K대학교에서 예비부모교육 교양강좌를 수강한 93명이고, 비교집단은 서울의 H대학교에서 일반교양강좌를 수강한 37명이다. 연구대상 모두 해당 교양강좌 시작 주와 15주 수업을 마친 후에 미래 부모 역할에 대한 자신감, 더불어 사는 사...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1) Vol. 24; no. 1; pp. 380 - 390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1.380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부모교육 교양강좌를 개발해 실시한 후, 미래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 성인 양육자로서의 태도,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인식을 평가해 강좌의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대학교 두 곳의 대학생 총 130명이다. 이들 중 실험집단은 서울의 K대학교에서 예비부모교육 교양강좌를 수강한 93명이고, 비교집단은 서울의 H대학교에서 일반교양강좌를 수강한 37명이다. 연구대상 모두 해당 교양강좌 시작 주와 15주 수업을 마친 후에 미래 부모 역할에 대한 자신감, 더불어 사는 사회의 성인양육자로서의 태도, 저출산·고령화 문제 인식에 대한 온라인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미래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 성인 양육자로서의 태도, 저출산·고령화 문제 인식 정도의 사전검사 점수 각각을 공변인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교정된 사후검사 평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미래 부모역할에 대한 자신감, 사회 내 성인 양육자로서의 태도,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한 인식 모두 본 예비부모교육 교양강좌를 수강한 실험집단 학생들의 교정된 사후검사 펑균이 일반교양강좌를 수강 후 비교집단의 학생들에 평균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진입기에 해당하는 대학생들에게 예비부모교육 강좌가 건강한 가정과 사회를 영위해 나갈 수 있는 예비부모 및 성인 양육자로서의 역량을 강화시키고 인구변동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예비부모교육 강좌를 통해 대학생들이 미래 사회 성인 양육자로서의 역할을 준비하도록 지원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arenting education as a liberal arts course for college students and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the course. A total of 130 undergraduate students from two univers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93 students who took the parenting education course at K University, and the comparison group consisted of 37 students who took the general liberal arts course at H University in Seoul. Both groups responded to online questionnaires about their confidence in their future parental roles, attitudes toward being an adult caregiver in society, and awareness of the declining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issue at the beginning of the course and after completing the 15-week cours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COVAs.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adjusted posttest means in the confidence of future parenthood, attitudes toward adult caregiving, and awareness of the declining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issue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did. The finding indicates that the pre-parental education course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college students in the transition to adulthood as expectant parents and adult caregivers to lead healthy families and societies, and in raising awareness of population issues. Ways to support college students in preparing for their roles as prospective adult caregivers in society with the pre-parenting course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1.3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