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명세자의 「상림십경」 시에 대한 고찰
「상림십경」 시는 숙종 대부터 시작된 창덕궁 후원의 누정 경영을 통한 신하들과의 교유 정치를 계승하는 측면에서 살펴볼 만한 작품이다. 이 글에서는 선대 임금이 창작한 「상림십경」을 간략히 개괄하고, 효명세자의 「상림십경」을 대상으로 내용 및 표현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가 지은 「상림십경」의 문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했다. 숙종의 「상림십경」은 계절의 흐름을 반영하여 시를 배치했으며, 경물을 노래하는 시임에도 곳곳에서 임금이라는 특수한 신분이 드러난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조와 순조,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도 「상림십경」 시를 지었다....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Vol. 47; no. 3; pp. 181 - 207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학중앙연구원
01.09.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671-8197 2733-936X |
Cover
Summary: | 「상림십경」 시는 숙종 대부터 시작된 창덕궁 후원의 누정 경영을 통한 신하들과의 교유 정치를 계승하는 측면에서 살펴볼 만한 작품이다. 이 글에서는 선대 임금이 창작한 「상림십경」을 간략히 개괄하고, 효명세자의 「상림십경」을 대상으로 내용 및 표현상의 특징을 분석하여 그가 지은 「상림십경」의 문학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했다.
숙종의 「상림십경」은 계절의 흐름을 반영하여 시를 배치했으며, 경물을 노래하는 시임에도 곳곳에서 임금이라는 특수한 신분이 드러난다는 점이 특징이다. 정조와 순조, 순조의 아들 효명세자도 「상림십경」 시를 지었다. 순조의 시는 숙종의 시에 차운한 것이기에 표현의 변화가 크지 않다. 정조는 숙종의 십경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변화를 꾀했다.
효명세자는 총 3편의 「상림십경」 시를 남겼다. 시의 구성 및 내용을 살펴보았을 때 선대 임금들의 「상림십경」 시와 유사한 시상 전개를 보인다. 특히 동일한 제목의 작품임에도 위정자로서의 면모가 점차 강하게 표출되는 양상을 통해 그의 작가 의식이 강화되는 모습이 확인된다.
효명세자의 「상림십경」 시에서는 감각어의 활용을 통한 수식이 돋보이며, 앞에 수록된 작품에서 보이는 미숙함이 뒤로 갈수록 정제된 모습을 보인다. 이는 그의 문학적 기량이 향상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효명세자의 작품은 그가 왕실의 구성원이자 차기 임금으로서 궁궐이라는 특별한 공간을 대상으로 하는 국왕의 작시 활동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The poem “Sangrim Shipgyeong” (上林十景) is a notable work from the era of King Sukjong (肅宗) that exemplifies the continuation of political interactions with subjects through the management of the pavilions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This study briefly outlines the “Sangrim Shipgyeong” created by the former kings,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nt and expression in Hyomyeong’s “Sangrim Shipgyeong,” and explore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his work.
King Sukjong’s “Sangrim Shipgyeong” is characterized by its arrangement reflecting the flow of seasons, and despite being a poem celebrating ‘scenic objects,’ it reveals the unique status of the king throughout the text. Similarly, King Jeongjo (正祖), King Sunjo (純祖), and Crown Prince Hyomyeong also composed “Sangrim Shipgyeong” poems. The poems of Sunjo, derived from the poems of Sukjong, show little variation in expression, whereas Jeongjo sought change, not strictly following the ten sceneries selected by Sukjong.
Crown Prince Hyomyeong left a legacy of three poems. When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poems, they exhibit a similar poetic development to the poems of the previous kings. In particular, the strengthening of his authorial consciousness can be seen through the increasingly strong representation of the ruler in works of the same title.
Hyomyeong’s “Sangrim Shipgyeong” poems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ensory language. Additionally, the immaturity exhibited in the earlier works improves as the poem progresses, demonstratinges the development of Hyomyeong’s literary skills. As a member of the royal family and the next king, Hyomyeong’s work shows that he was faithfully continuing the royal tradition ofwriting about the special spaces of the palace.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671-8197 2733-936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