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처리를 이용한 사과박의 플라보노이드 전환 및 항산화 활성 변화

본 연구는 배당체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사과박을 산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의 구조변환을 통한 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과박에 다양한 농도별 산처리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phytochemical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농도별 산처리에 따른 사과박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0.5 M HCl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95.94± 5.05 mg GAE/g residue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2; no. 2; pp. 146 - 153
Main Authors 문지은(Jieun Moon), 허희진(Huijin Heu), 이준수(Junsoo Lee), 양진우(Jinwoo Yang)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2.14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배당체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사과박을 산처리 방법을 이용하여 플라보노이드의 구조변환을 통한 고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에 사과박에 다양한 농도별 산처리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phytochemical 함량 변화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농도별 산처리에 따른 사과박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0.5 M HCl 처리군에서 가장 높은 95.94± 5.05 mg GAE/g residue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0 M HCl 처리군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농도별 산처리에 따른 DPPH 라디칼 소거능과 금속이온에 대한 환원력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세포 시스템을 이용한 평가 시스템에서도 0.5 M HCl을 처리하여 얻은 사과박 추출물이 가장 뛰어난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ROS의 형성 억제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세포 내 항산화 효소의 활성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산처리한 사과박의 증가한 생리활성은 산처리를 통해 증가한 rutin의 어글리콘 물질인 quercetin 함량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를 다량 함유한 식품소재를 대상으로 적절한 산처리 방법의 적용은 어글리콘으로의 변환을 유도하여 기능성이 향상된 소재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pple peel extract treated with acid and evaluat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id-treated extracts on oxidative stress in HepG2 cells. The optimal acid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treating apple extract with HCl at concentrations from 0 to 1.0 M. Treatment with 0.5 M HCl resulted in the highest polyphenol content, and acid treatment concentration-dependently decreased rutin (a flavonoid aglycone) levels but increased quercetin (a flavonoid glycoside) levels. In addi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reducing power of extracts increased with acid concentration. When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acid-treated apple peel extract, the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increased with acid concentration (0.5 M). Howeve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slightly diminished at an acid concentration of 1.0 M. The study shows that optimum acid treatment of apple peel extract is important for improving its antioxidant and cytoprotective effects. Furthermor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de-glycosylation of flavonoid glycosides by acid treatment increases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apple peel extract. KCI Citation Count: 4
ISSN:1226-3311
2288-5978
DOI:10.3746/jkfn.2023.52.2.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