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실러스 균주를 이용한 분리대두단백 발효물의 항산화 및 항고지혈 효과
본 연구는 분리대두단백(ISP)을 2%(w/v) 첨가한 최소배지에서 균주의 생육 가능성과 단백질가수분해효소 활성을 B. amyloliquefaciens SRCM118817과 B. velezensis SRCM 117829 균주에 대해 발효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균주와 발효 시간에 따른 기능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리대두단백 발효물을 AISP24h, AISP48h, VISP24h, VISP48h로, 비발효 분리대두단백을 UISP로 구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3.72~59.95 μg TEAC/mL로 AISP가 VISP보...
Saved in:
Published in | Han'guk Sikp'um Yŏngyang Kwahakhoe chi Vol. 52; no. 9; pp. 886 - 896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01.09.202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3.52.9.886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분리대두단백(ISP)을 2%(w/v) 첨가한 최소배지에서 균주의 생육 가능성과 단백질가수분해효소 활성을 B. amyloliquefaciens SRCM118817과 B. velezensis SRCM 117829 균주에 대해 발효 시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균주와 발효 시간에 따른 기능성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분리대두단백 발효물을 AISP24h, AISP48h, VISP24h, VISP48h로, 비발효 분리대두단백을 UISP로 구분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3.72~59.95 μg TEAC/mL로 AISP가 VISP보다 활성이 높았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은 AISP48h와 VISP48h에서 각각 1,564.44, 1,617.51 μg TEAC/mL로 발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높았으며, UISP에 비해 각각 5.14배, 4.75배 높은 수준이었다. SOD 유사 활성은 AISP48h, VISP48h에서 각각 891.44, 945.06 μg TEAC/mL로 발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증가하여, UISP에 비해 AISP 48h, VISP48h에서 각각 6.69배, 7.09배 높은 수준이었다. ORAC 활성은 AISP48h, VISP48h에서 2,331.05 μg TEAC/ mL, 2,145.66 μg TEAC/mL로 발효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ACE1 저해 활성은 희석배수 1/5에서 UISP는 33.65%였으며, 동일희석배수에서 VISP24h가 87.93%로 가장 높았다. AIPS24h와 VISP24h를 비교하였을 때, VISP 24h가 10% 이상 저해 활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든 실험구에서 농도 의존성으로 희석배수가 감소함에 따라 저해 활성은 증가하였고, 균주에 따라 발효 시간별 저해 활성에 차이를 보였다. HepG2 세포주에 대한 지질축적 억제율은 UISP의 경우 희석배수 1/100, 1/50에서 각각 25.61%, 30.10%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율이 증가하였고, AISP24h, AISP48h의 경우 희석배수 1/50에서 각각 56.00%, 55.19%로 VISP24h, VISP48h의 53.10%, 53.78%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HepG2 세포주에 대한 총콜레스테롤 생성량은 비발효구인 UISP의 경우 희석배수 1/100, 1/50에서 각각 45.15 μg/mL, 36.65 μg/mL로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량이 약간 감소함을 보였으나, AISP48h 희석배수 1/100, 1/50에서는 총콜레스테롤 함량이 각각 26.86 μg/mL, 21.40 μg/mL로 분석되어 콜레스테롤 생성억제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이와 같이 분리대두단백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이 AISP24h, VISP24h보다 AISP48h, VISP48h의 활성이 높게 나타나 균주의 종류보다는 발효 시간 의존성이 보였으며, 항고지혈 효과는 VISP24h의 효능이 가장 높거나 유사한 수준이어서 그 효과가 균주 의존적일 수 있음을 시사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unctional properties, antioxidant, antihypertensive, hypolipidemic,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isolated soybean protein (ISP) fermented products using Bacillus amyloliquefaciens SRCM118817 and B. velezensis SRCM117829 in a minimal medium supplemented with 2% (w/v) ISP. The antioxidant activity of ISP ferments (AISP24h, AISP48h, VISP24h, and VISP48h) tends to increase as the fermentation period increases. The angiotensin conversion enzyme 1 (ACE1) inhibitory activity was the highest in 1/5 dilution factor (DF) of VISP24h (87.93%) among the ISP ferments. The hypolipidemic and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ISP ferments were evaluated on lipid accumulation and total cholesterol contents using oleic acid (400 μM) stimulated HepG2 cells. AISP24h (56.00%) and AISP48h (55.19%)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pid accumulation inhibition rates in HepG2 cells compared to VISP24h (53.10%) and VISP48h (53.78%) at 1/50 DF.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that at 1/100 DF and 1/50 DF, AISP48h demonstrates the most effective total cholesterol production inhibition rates in HepG2 cells at 26.86 μg/mL and 21.40 μg/mL, respectivel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3746/jkfn.2023.52.9.886 |
ISSN: | 1226-3311 2288-5978 |
DOI: | 10.3746/jkfn.2023.52.9.8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