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이모티콘샵’의 인기 이모티콘 디자인 분석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카카오 이모티콘의 인기 이모티콘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여, SNS 시대의 의사 소통의 방식과 이모티콘 소통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모티콘 문화의 의미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구체적인 목표를 둔다. · 연구 배경: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인 카카오톡의 인기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소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현대 사회의 이모티콘의 소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는 점이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연구 방법: ‘카카오 이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인문사회과학연구 Vol. 32; no. 4; pp. 195 - 215
Main Author 권윤경(Yun-Kyoung Kw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01.11.2024
인문사회과학연구소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2.4.202411.0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 연구 주제: 본 연구는 카카오 이모티콘의 인기 이모티콘 디자인 현황을 분석하여, SNS 시대의 의사 소통의 방식과 이모티콘 소통 문화의 특징을 고찰하고 이모티콘 문화의 의미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구체적인 목표를 둔다. · 연구 배경: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앱인 카카오톡의 인기 이모티콘을 대상으로 소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현대 사회의 이모티콘의 소통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는 점이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연구 방법: ‘카카오 이모티콘샵’(https://e.kakao.com/)의 ‘인기’ 이모티콘(1위∼52위: 2024년 7월)을 캐릭터별, 제목/컨셉별, 메시지/일러스트별로 유형화하여 언텍트/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융합적 의미로 이모티콘에 대한 새로운 성찰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연구 결과: 이모티콘은 일상의 미묘한 감정을 표현하고, 타깃별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고 또 나의 아이덴티티, 시리즈로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이모티콘은 감정과 맥락을 중시하는 한국말에 적합하다는것을 알 수 있었고 향후 현대 사회에서 한국인의 이모티콘은 ‘나’를 표현하고 내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하는 아바타로서 존재하고 개발될 것이다. · Research topics: The specific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Kakao Emoticon's popular emoticon design, examine the communication method in the SNS era and the characteristics of emoticon communication culture, and suggest a meaningful direction for emoticon culture. · Research background: We aim to promote a new understanding of communication culture by targeting the popular emoticons of KakaoTalk, the app most used by Korean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t can be said to be different in that it can open up the possibility of new understanding of the communication culture of emoticons in modern society. · Research method: ‘Popular’ emoticons (1st to 52nd: July 2024) from ‘Kakao Emoticon Shop’ (https://e.kakao.com/) are categorized by character, title/concept, and message/illustration to be untacted. We aim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new reflection on emoticons with a convergent meaning in non-verbal communication. · Research results: I was able to see that emoticons express the subtle emotions of everyday life, are composed of various types for each target, and are connected to my identity and series.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t was found that emoticons are suitable for the Korean language, which emphasizes emotion and context, and in the future, in modern society, Korean emoticons will exist and be developed as avatars to express ‘me’ and express my emotions honestl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3141826
ISSN:2288-8861
2671-5376
DOI:10.22924/jhss.32.4.20241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