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 운영현황에 대한 인식연구: 경기도 순회교사 및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운영 현황에 대해 순회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순회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해 해당 순회교육 담당교사와 순회교육 대상 학생이 배치된 학교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응답지를 불비례 층화추출법으로 표본 추출하여 순회교사(32명)와 통합학급 교사(15명) 총 4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학급 교사는 순회교육...
Saved in:
Published in | 특수교육논총 Vol. 40; no. 3; pp. 65 - 91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01.08.2024
특수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4.08.40.3.65 |
Cover
Summary: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내 특수학급 미설치 초등학교 순회교육의 운영 현황에 대해 순회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여 순회교육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25개 교육지원청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통해 해당 순회교육 담당교사와 순회교육 대상 학생이 배치된 학교의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응답지를 불비례 층화추출법으로 표본 추출하여 순회교사(32명)와 통합학급 교사(15명) 총 47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통합학급 교사는 순회교육 관련 공문이나 학교 내 특수교육 업무 담당교사의 안내를 통해 순회교육을 접하였고, 주로 학생의 장애 특성 이해와 기초학력 향상을 위해 순회교육을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순회교육은 평균 주당 2회, 1회 방문시 2시간의 시수로 운영되며, 개별화교육계획 작성과 운영 및 순회교육 계획 및 평가에서 서로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순회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양측 모두 특수(통합)교육 연수, 나아가 통합교육 방법 및 교육과정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운영의 어려움 면에서는 순회교육 관련 양 교사 집단간의 의사소통과 협력의 부재가 언급되었고, 순회교육 관련 구체적인 지침 및 행․재정적 지원을 요구하였다. 결론: 초등학교 통합교육형 순회교육 현황에 대한 인식과 개선 요구사항에 대한 해석에 기반을 두고 현장에 대한 시사점과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itinerant and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itineran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thout special classes in Gyeonggi-do,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t 25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in Gyeonggi-do with both teacher groups. A non-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was adopted to analyze a total of 47 questionnaires, including 32 itinerant teachers and 15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Results: First,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pplied for itinerant education mainly to understand the disability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tudents and improve their basic learning skills. Second, itinerant education was conducted on average twice a week, with a duration of two hours per visit. Third, both teachers helped each other in writing and supporting IEPs, planning and evaluating itinerant education. Third, both types of teachers agreed on the need for training in special (inclusive) education and inclusive teaching methods. They cited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both of them as a difficulty in terms of implementation, and requested specific guidelines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Conclu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perceptions of the current status of itinerant education and the needs for improvement, this study discusses implications for the field and specific support measure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2466-1872 2672-104X |
DOI: | 10.31863/JSE.2024.08.40.3.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