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적 KoBERT를 활용한 SNS 문맥 기반 이모티콘 추천
이모티콘 추천은 수천 개의 이모티콘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이모티콘을 용이하게 찾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태스크이다. 기존의 이모티콘 추천 방법들은 채팅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며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감정 이모티콘 위주로 추천한다. 그러나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에서는 감정 전달보다는 업로드한 짧은 게시글의 내용을 보완하거나 강조하는 용도로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SNS 플랫폼에서 한국어 게시글의 문맥을 파악하여 이모티콘을 추천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모티콘 추천 문제에 계층적 KoBER...
Saved in:
| Published in |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 24; no. 6; pp. 1361 - 1371 |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 Language | Korean |
| Published |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01.06.2023
|
| Subjects |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23.24.6.1361 |
Cover
| Summary: | 이모티콘 추천은 수천 개의 이모티콘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이모티콘을 용이하게 찾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태스크이다. 기존의 이모티콘 추천 방법들은 채팅 플랫폼을 대상으로 하며 사용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감정 이모티콘 위주로 추천한다. 그러나 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에서는 감정 전달보다는 업로드한 짧은 게시글의 내용을 보완하거나 강조하는 용도로 이모티콘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SNS 플랫폼에서 한국어 게시글의 문맥을 파악하여 이모티콘을 추천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한다. 이모티콘 추천 문제에 계층적 KoBERT를 도입하여 한국어 게시글의 문맥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다양한 이모티콘을 추천한다. 314개 이모티콘 카테고리에 속하는 616개의 이모티콘 추천은 SNS 게시글의 함축적인 단문을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유용하다. 인스타그램 게시글을 수집하여 실제 세계를 반영하는 데이터셋을 구성하고 각 텍스트에 삽입되어 있는 이모티콘의 계층적 카테고리를 학습하기 위해 계층적 KoBERT 모델을 구축한다. 실험 결과에서 DNN, LSTM, Bi-LSTM, GRU 모델과 비교하여 계층적 KoBERT 모델이 이모티콘 추천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검증하였다. Emoji recommendation is an important task that assists users in finding appropriate emojis from thousands of candidates. Existing methods primarily focus on popular emojis related to user emotions in chat platforms. However, on SNS platforms, such as Instagram, emojis are often used to complement or emphasize the content of short uploaded posts rather than conveying emotions.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recommending emojis in Korean language posts on SNS platforms by understanding the context of the posts. We apply a hierarchical KoBERT model to capture the context of Korean posts and recommend a diverse range of emojis suitable for the content. We considered 616 emojis from 314 emoji categories for accurately conveying the context of SNS posts. We constructed the real-world dataset by collecting Instagram posts and developed the hierarchical KoBERT model to learn the hierarchical categories of emojis embedded within the texts. Experimental results validate the superior performance of the hierarchical KoBERT model in emoticon recommendation compared to DNN, LSTM, Bi-LSTM, and GRU models. KCI Citation Count: 1 |
|---|---|
| Bibliography: | http://dx.doi.org/10.9728/dcs.2023.24.6.1361 |
| ISSN: | 1598-2009 2287-738X |
| DOI: | 10.9728/dcs.2023.24.6.13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