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 생산기반 구축에 대한 농업인 인식과 AHP를 이용한 중요 요소 결정

거제시의 부가가치 작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수립을 위해, 올리브의 생산기반 구축에 대한 두 농업인 그룹(강소농교육생과 거제올리브연구회)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소농교육생과 올리브연구회의 경우 각각 31.9%와 94.7%가 올리브 재배 의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올리브를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미래를 준비하기에 적합한 품목이면서 주소득작물 또는 가공품 개발 및 체험관광 등의 보조 작물로 기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올리브연구회원들을 대상으로 올리브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중요 요소에 대하여 AHP(Analytic Hierarch...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3(12) Vol. 23; no. 12; pp. 663 - 673
Main Authors 안종현(Jong Hyun An), 허철무(Chul-Moo Heo), 채희정(Hee Jeong Chae), 김의경(Eui Gyeong Kim)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12.6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거제시의 부가가치 작물로 육성하기 위한 정책수립을 위해, 올리브의 생산기반 구축에 대한 두 농업인 그룹(강소농교육생과 거제올리브연구회)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소농교육생과 올리브연구회의 경우 각각 31.9%와 94.7%가 올리브 재배 의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올리브를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미래를 준비하기에 적합한 품목이면서 주소득작물 또는 가공품 개발 및 체험관광 등의 보조 작물로 기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올리브연구회원들을 대상으로 올리브 생산기반 구축을 위한 중요 요소에 대하여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기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거제 올리브 생산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중분류의 중요도는 생산관리, 연구개발, 유통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하분류 중요 요소로서, 재배과원 조성 지원, 재배기술 보급 및 교육, 거제형 재배방법 연구, 지역적합 품종연구, 판로 확대 지원 등이 중요한 요소로 도출되었다. In order to construct an agricultural policy for the cultivation of olives as new value-added crops in Geoje, surveys were taken by two farmer’s groups (small and medium-sized farmers, and members of the Geoje Olive Research Association) inquiring their views on the establishment of olive production base. The rates of members who want to cultivate olives were 31.9% and 94.7% in the two groups, respectively. Major reasons for olive cultivation were the following: it is a promising crop against climate warming, a main income crop, and a secondary crop for processed products and experiential tourism. Additionally, evaluation surveys were carried out with the olive research association using a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find key elements for an olive production base. From the AHP analysis on management parts, the key elements were ranked by importance: first production, next R&D, and then distribution. For key elements in subclass level, support for the creation of orchards was ranked most important, education and dissemination of cultivation technology second, and the rest in order of research on Geoje-specific cultivation method, research on regionally suitable varieties, supporting for sales channel expansion, etc.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23.23.12.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