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이상적 자기표현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 긍정정서와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SNS 이상적 자기표현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9세~만 34세 청년 29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SNS 이상적 자기표현은 긍정정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정서는 외로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SNS 이상적 자기표현은 부정적 자기개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기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24(8) Vol. 24; no. 8; pp. 568 - 58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콘텐츠학회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8.56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SNS 이상적 자기표현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적 자기개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만 19세~만 34세 청년 296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9.0과 PROCESS Macro v4.2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SNS 이상적 자기표현은 긍정정서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긍정정서는 외로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SNS 이상적 자기표현은 부정적 자기개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부정적 자기개념도 외로움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SNS 이상적 자기표현과 외로움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부정적 자기개념의 병렬이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년들의 외로움 발생 및 유지 과정의 이해를 확장하고, SNS의 전략적 사용을 통해 외로움의 감소를 예측할 수 있었으며, 긍정정서와 부정적 자기개념을 각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으로 제안함으로써 상담장면에서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l self-expression behavior and loneliness on SNS. To this end, an online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296 young adults aged 19 to 34,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PROCESS Macro v4.2.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deal self-presentation on S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motions on positive affect, and positive affect had a negative effect on loneliness. Second, ideal self-presentation on SN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negative self-concept, and negative self-concept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loneliness. Finally, there was a parallel double mediation effect of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self-concep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deal self-presentation on SNS and loneliness.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the occurrence and maintenance process of loneliness in young adults, predict the reduction of loneliness through the strategic use of SNS, and emphasize the use of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self-concept as protective and risk factors, respectively, in counseling setting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598-4877 2508-6723 |
DOI: | 10.5392/JKCA.2024.24.08.568 |